-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instrumental and procedural justice factors on trust in court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조성진(Jo-Seong Jin)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289~30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법원 신뢰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형사사법기관 신뢰 영향요인을 설명하는 도구적 모델과 절차적 정의 모델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주요 요인을 추출하고 법원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및 부산 등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성인 남녀 총 1,000명이며,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수행한 ‘2017년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 조사’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도구적 모델 요인인 법원 효과성과 절차적 정의 모델 요인인 분배적 공정과 절차적 공정이 증가할수록 법원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정치성향이 보수적일수록, 법원 경험이 있을수록 법원 신뢰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과 성별은 법원 신뢰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법원 신뢰를 제고시키기 위해 법원은 법적 분쟁을 법과 원칙에 따라 적절히 해결하고, 범죄자에게 형벌을 적정히 부과하며, 재판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 권한을 충분히 보장해줄 필요성이 상당하였다. 또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판을 진행하고, 사건 이해 당사자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언론 등 그 밖에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양형을 선고한다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contribute to trust in the courts. the instrumental model and the procedural justice model, which provide explanation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in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the confidence in the courts.
Using the Survey on Trust on Criminal Justice Agencies 2017 condu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on 1,000 citizens aged 19 and older living in five major metropolitan areas, including Seoul, Gyeonggi, and Busa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t, an instrumental factor, and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fidence in the courts. The findings also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the more conservative the political tendency, and the more experience with the courts, the higher the confidence in the cou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ge and gend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fidence in the cou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licies aimed at strengthening the effectiveness and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f the courts are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rust in the cour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착용기록장치’의 기능과 한계
- 도구적 요인 및 절차적 정의 요인의 법원 신뢰 영향 분석
- 혼잡·교통유도경비의 법체계 발전 방안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연계한 일머리 교육: 경호·보안직무를 중심으로
- 운전자의 인식 및 심리적 요인이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언론보도를 통한 온라인 사적제재의 탐색적 연구
- 지역 안전성 인식이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치경찰사무 만족도를 매개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무질서와 두려움 사이: 집합 효율성의 양면적 조절효과
- 경찰공무원의 우울증이 음주와 흡연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집회·시위 문화에 대한 시민과 경찰의 인식분석에 관한 연구
-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 사회정착 요인에 대한 다집단 비교 분석: 소년원생과 보호관찰 대상자를 중심으로
-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도박행위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 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자율방범대 활성화 방안: 지방의회 조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 한국경찰학회보
- 행정논총
- 정부학연구
- 사회과학연구
- 한국 경찰학회보
- 한국경찰학회보
- 한국 경찰학회보
- 법과 사회
- 한국행정학보
- 한국범죄학
- 한국과 국제정치
- 경제와사회
- 법학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한국행정연구
- 행정논총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고려법학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한국경찰학회보
- 의정연구
- 저스티스
- 강원법학
- 한국경찰학회보
- Democratization
- The Criminal Law Bulletin
- The Journal of Politics
- Behavioral Sciences and the Law
- In National Conference on Public Trust and Confidence in justice System
- International Journal for Crime, Justice and Social Democracy
- West European Politics
- South African Journal on Human Rights
- Law and Society Review
-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review
-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 Psychiatry, Psychology and Law
- Asian Journal of Criminology
- Asian Journal of Criminology
- Journal of Institutional Economics
-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journal
- Police quarterly
- Asian Journal of Criminology
- Law & society review
- Criminology
- Behavioral sciences & the law
-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