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이용수  3

영문명
The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Police Officer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김남미(Nam-Mi Kim)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내면행동, 표면행동)과 심리적 소진(탈진, 비인격화, 성취감 저하)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수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서울지역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 51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을 활용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중 표면행동은 탈진과 비인격화 수준을 낮추는 데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모든 심리적 소진 하위요인에 대해 완충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성취감 저하를 감소시키는 데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내면행동은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결과는 경찰조직이라는 규범지향적 환경에서는 감정표현 방식에 대한 개인의 자율성이 제한되어 조절효과가 발휘되기 어렵다는 구조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의미를 가진다. 즉, 자기효능감은 감정노동 전략에 따라 소진 수준을 조절하기보다는, 독립적 보호자원으로서 심리적 소진 전반을 완충하는 데 기여함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그리고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심리적 자원의 역할을 보다 명확히 밝히고, 경찰조직 내 소진 예방 전략 수립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and psychological burnout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among police officers, and systematically examined whether self-efficacy function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is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11 police officers working in police stations, precincts, and substations in the Seoul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 through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surface act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play a buffering role across all subdimensions of psychological burnout, with the strongest mitigating effect observed on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In contrast, deep act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burnout.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self-efficac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However, this result provides empirical support fo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olice organizations, where individual autonomy in emotional expression is restricted by normative organizational demands, making it difficult for moderating effects to manifest. In other words, self-efficacy was confirmed to function as an independent protective resource that mitigates psychological burnout regardless of the type of emotional labor strategy. By integrating and cla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efficac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resources in police organization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prevent burnou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미(Nam-Mi Kim). (2025).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치안행정논집, 22 (2), 1-22

MLA

김남미(Nam-Mi Kim).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치안행정논집, 22.2(202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