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이용수  24

영문명
The Constitutional Right to Know and the Disclosure of the Names of Committee Member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이철호(Cheol-Ho Lee)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251~26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찰수사 심의위원회’는 경찰 수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와 전국 18개 시·도 경찰청에 설치해 대학교수·변호사 등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이다. 경찰수사 심의위원회는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2021년부터 경찰이 사건에 대해 1차 종결권을 갖게 됨에 따라 경찰 수사에 대한 시민적 통제방안으로 마련됐다. 경찰수사 심의위원회는 경찰청예규인 「경찰 수사사건 심의 등에 관한 규칙」에 근거하여 설치 운영되고 있다. 경찰수사 심의는 사건 관계인이 경찰 입건 전 조사나 수사 절차 혹은 수사 결과가 적정한 지, 그리고 적법하게 이뤄졌는지 등을 판단해달라고 요청하는 제도이다. 통상적으로 수사심의는 수사절차 미준수, 인권침해, 사건처리 지연 등을 이유로 신청하고 있다. 경찰수사 심의제도는 사건 관계자가 편파 수사나 수사 지연 등 문제를 제기할 경우, 외부 민간 전문 위원으로 구성된 ‘수사심의위원회’가 이를 심의해 재수사나 수사관 교체 여부 등을 판단하는 제도이다. 내사 종결이나 수사 진행 중 편파 수사, 수사관 교체 요구, 수사 지연, 검찰 불송치, 입건 조사 종결, 관리 미재 사건 등으로 모든 사건이 경찰수사 심의위원회의 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시·도경찰청장 등이 직권 부의한 사건이나 경찰관서 내부 수사지휘에 대한 이의제기 사건 등도 심의 대상이다. 경찰수사에 대한 심의신청 건수는 해마다 계속 증가하고 있다. 매년 경찰수사에 대한 심의 신청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은 경찰 수사영역 확대, 고발인 이의신청권 폐지, 고소·고발 반려제도 폐지, 국민 권리의식 향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른바 ‘채상병 사건’으로 불리는 해병대원 사망 사건 수사결과를 경북경찰청 수사심의위원회가 심의하 였고, 동(同)사건이 2024년 7월 1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주요 안건으로 다루어졌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경찰수사심의위원 명단 공개 여부가 논란이 되었으며, 수사심의위원 인력 구성의 확대, 시·도경찰청장이 직권 부의 사건의 심의위원 임의 지정, 사건 관계인의 의견 제출 기회의 한계와 같은 경찰수사심의위원회 운영상의 문제점이 노정(露呈)·확인되기도 했다. 본고에서는 경찰청 예규인 「경찰 수사사건 심의 등에 관한 규칙」을 중심으로 경찰수사 심의 신청 현황과 운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채상병 사망사고’ 수사결과에 대한 경찰수사심의위원회를 개최를 두고 사회적 논란이 된 경찰수사심의위원 명단 공개 여부와 회의록 공개 문제를 헌법상 알 권리와 정보공개제도의 법리를 중심으로 논구(論究)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olice Investigation Review Committee is composed of civilian experts, including university professors and lawyers. It is established under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in 18 provincial police agencies nationwide,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police investigations. The Committee was created as a civilian oversight mechanism following the 2021 reform of prosecutorial and police investigative authority, which granted the police the power to make the initial decision on case closures. The Committee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n the Review of Police Investigation Cases, a regulation issu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police investigation review system allows parties involved in a case to request an evaluation of whether the police’s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ernal investigation), investigative procedures, or investigation results were appropriate and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law. Typically, requests for a review are made on grounds such as non-compliance with investigative procedures, human rights violations, or delays in case processing. Under this system, when a party raises concerns about a biased or delayed investigation, an “Investigation Review Committee” composed of external civilian experts reviews the matter and decides whether to initiate a reinvestigation or replace the assigned investigator. A wide range of cases may be reviewed by the Committee, including those involving the closure of internal investigations, bias dur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requests for investigator replacement, delays in the investigation, prosecutorial decisions not to indict, and improper case management. The Committee also reviews cases referred by provincial police chiefs and objections to internal investigative directives. The number of requests for police investigation reviews has been increasing annually. Contributing factors include the expanded authority of police in investigations, the abolition of the complainants’ right to object to investigative decisions, the removal of the system allowing for the rejection of complaints or accusations, and greater public awareness of individual rights. The so-called “Corporal Chae Incident”, which involved the death of a Marine Corps member, was reviewed by the Gyeongbuk Provincial Police Agency’s Investigation Review Committee. This case was also discussed as a major agenda item at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s Administrative and Safety Committee on July 11, 2024. During the session, controversy arose over whether the names of Police Investigation Review Committee members should be disclosed. Additional concerns were raised regarding the need to expand the Committee’s membership, the arbitrary designation of committee members by provincial police chiefs in cases they referred directly by authority, and the limited opportunities for involved parties to present their opinio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Police Investigation Review Committee, th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s for review, and related operational issues,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Rules on the Review of Police Investigation Cases issu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Furthermore, this paper will analyze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disclosure of committee member names and the release of meeting minutes in connection with the review of the investigation results in the “Corporal Chae’s Death Incident,” based on the constitutional right to know and the legal principles govern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경찰수사 심의위원회 운영실태
Ⅲ.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과 회의록 공개 문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철호(Cheol-Ho Lee). (2025).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한국치안행정논집, 22 (2), 251-269

MLA

이철호(Cheol-Ho Lee).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한국치안행정논집, 22.2(2025): 251-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