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Perceptions of Local Safety on Perception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Focusing on the Structural Influence Mediated by Satisfaction with Autonomous Police Service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서호(Seo-H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189~21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형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구조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자치경찰 제도 인식 제고를 위한 통합적 논의를 진행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지역 안전성 인식과 자치경찰사무 만족도 및 자치경찰제도 인식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형 자치경찰제 시행및 정착에 관한 연구(Ⅰ)」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서울, 세종, 제주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역 안전성 인식이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자치경찰사무 만족도가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양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지역 안전성 인식이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치경찰사무 만족도의 간접효과는 양적으로 유의했으며 완전한 매개모형 구조를 나타냈다. 이에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지역 안전성 인식을 통해 자치경찰제도 인식을 제고하는데 있어서 구체적 자치경찰사무의 효율적 개입과 실천적 운영방안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ructurall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this, the aim was to facilitate an integrated discussion to enhance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pecifically,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s of regional safety, satisfaction with autonomous police services, and perception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Data from the study titled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utonomous Police System (Ⅰ)” was used, targeting adults residing in Seoul, Sejong, and Jeju.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perception of regional safe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owever, satisfaction with autonomous police ser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Furthermore, satisfaction with autonomous police services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safety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dicating a fully mediated model struc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autonomous police services. Moreover, in 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the lens of perceptions of regional safety, efficient engagement and practical operational strategies in specific autonomous police tasks may b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착용기록장치’의 기능과 한계
- 도구적 요인 및 절차적 정의 요인의 법원 신뢰 영향 분석
- 혼잡·교통유도경비의 법체계 발전 방안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연계한 일머리 교육: 경호·보안직무를 중심으로
- 운전자의 인식 및 심리적 요인이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언론보도를 통한 온라인 사적제재의 탐색적 연구
- 지역 안전성 인식이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치경찰사무 만족도를 매개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무질서와 두려움 사이: 집합 효율성의 양면적 조절효과
- 경찰공무원의 우울증이 음주와 흡연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집회·시위 문화에 대한 시민과 경찰의 인식분석에 관한 연구
-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 사회정착 요인에 대한 다집단 비교 분석: 소년원생과 보호관찰 대상자를 중심으로
-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도박행위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 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자율방범대 활성화 방안: 지방의회 조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