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unctions and Limitations of Police-Worn Body Cameras under the Revised Police Officers' Duties Execution Act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순석(Soon-Se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23~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찰관은 「경찰관직무집행법」에 따라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급자의 직접적인 감독 없이 직무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직무집행의 적절성과 투명성에 대한 우려는 늘 존재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공무집행 방해와 같은 범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일부 경찰관들은 경찰착용기록장치(일명 바디캠)를 개인적으로 구매하여 현장에서 활용하기도 한다. 바디캠은 현장 상황의 투명성 강화와 증거 수집에 기여하지만, 고정형 CCTV와 달리 이동성이 뛰어나 언제 어디서나 특정 대상을 지정하지 않고 촬영할 수 있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바디캠 사용 규제와 개인정보 유출 방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2023년 3월 14일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을 통해, 범죄 및 비범죄 현장에서 경찰관이 바디캠을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2024년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으로 경찰장비에 ‘경찰착용기 록장치’가 추가되었으며 이에 대한 사용 근거와 범위를 규정하기 이르렀다. 이 연구는 개정 「경찰관직무집 행법」과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바디캠 사용의 제약 요인을 규명하고,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바디캠의 주요 이점으로는 경찰과 지역사회 간 관계 개선, 범죄 증거 확보, 효과적인 교육 자료 제공이 있다. 그러나 낮은 대국민 인식, 불충분한 법적 규정, 복잡한 영상 전송·저장 절차, 실무적 장애요인 등이 바디캠 활용을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영상 관리에 대한 경찰관의 재량권 확대, 법적 규정 보완, 영상 전송 및 저장 절차 간소화, 현장 활용성 제고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현장 경찰관들의 바디캠 적극 활용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olice officers perform duties to protect citizens under the Police Officers’ Duties Execution Act, but concerns persist about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 unsupervised field opera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and gather evidence in crimes like obstruction of duty, some officers voluntarily use body-worn cameras (bodycams). Bodycams help enhance transparency and evidence collection but raise privacy concerns due to their mobility and non-targeted recording. Prior research has focused on usage regulations and data protection.
Legal amendments in 2023 and 2024 provided a basis for bodycam use and officially recognized them as police equipment.
This study analyzes prior research and field officers’ perceptions to identify limitations in bodycam usage and propose strategies for improvement. While bodycams offer benefits such as better community relations, evidence securing, and training resources, challenges remain including limited public awareness, legal gaps, complex data handling procedures, and operational issues. The study suggests expanding officer discretion, improving regulations, and simplifying technical processes to promote wider use in policing.
목차
Ⅰ. 서론
Ⅱ. 개정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착용기록장치
Ⅲ. 경찰착용기록장치의 기능
Ⅳ. 경찰착용기록장치 활용의 한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착용기록장치’의 기능과 한계
- 도구적 요인 및 절차적 정의 요인의 법원 신뢰 영향 분석
- 혼잡·교통유도경비의 법체계 발전 방안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연계한 일머리 교육: 경호·보안직무를 중심으로
- 운전자의 인식 및 심리적 요인이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언론보도를 통한 온라인 사적제재의 탐색적 연구
- 지역 안전성 인식이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치경찰사무 만족도를 매개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무질서와 두려움 사이: 집합 효율성의 양면적 조절효과
- 경찰공무원의 우울증이 음주와 흡연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집회·시위 문화에 대한 시민과 경찰의 인식분석에 관한 연구
-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 사회정착 요인에 대한 다집단 비교 분석: 소년원생과 보호관찰 대상자를 중심으로
-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도박행위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 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자율방범대 활성화 방안: 지방의회 조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