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etween Social Disorder and Fear: The Dual Moderating Role of Collective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연재(Yeon-Jae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111~12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집합효율성이 조절 변수로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집합효율성이 수행하는 조절 효과가 일정 수준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로는 「2020 전국범죄피해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복합표본 설계를 반영한 다중회귀분석과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조절효과 분석을 수행 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무질서 수준이 높을수록 범죄두려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합효율성은 일정 수준 이하에서는 범죄두려움을 완화하지 못하고 오히려 증폭시킬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집합효율성은 사회적 무질서와 범죄두려움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그 효과가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합효율성이 단순한 보호 요인이 아니라, 수준과 맥락에 따라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범죄두려움 완화를 위한 정책 수립 시, 공동체 역량 강화를 단순한 유대감 형성 차원을 넘어 임계수준 이상의 결속과 통제력 확보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disorder on fear of crime and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collective efficacy in this relationship.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efficacy, exploring how its effects vary depending on its level. Data were drawn from the 2020 Korea Crime Victim Surve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flecting a complex sampling design were conducted, including interaction terms to test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levels of social disorder significantly increase fear of crime. Moreover, collective efficacy, when below a certain threshold, fails to mitigate fear of crime and may even amplify it.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order and fear of crime demonstrated nonlinear patter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lective efficacy does not function solely as a protective factor but operates in a complex manner depending on its level and social context. This study emphasizes that policies aimed at reducing fear of crime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community capacity beyond simple social cohesion, ensuring sufficient levels of collective efficacy through robust social ties and informal control mechanis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착용기록장치’의 기능과 한계
- 도구적 요인 및 절차적 정의 요인의 법원 신뢰 영향 분석
- 혼잡·교통유도경비의 법체계 발전 방안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연계한 일머리 교육: 경호·보안직무를 중심으로
- 운전자의 인식 및 심리적 요인이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언론보도를 통한 온라인 사적제재의 탐색적 연구
- 지역 안전성 인식이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치경찰사무 만족도를 매개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무질서와 두려움 사이: 집합 효율성의 양면적 조절효과
- 경찰공무원의 우울증이 음주와 흡연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집회·시위 문화에 대한 시민과 경찰의 인식분석에 관한 연구
-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 사회정착 요인에 대한 다집단 비교 분석: 소년원생과 보호관찰 대상자를 중심으로
-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도박행위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 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자율방범대 활성화 방안: 지방의회 조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