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ulti-Group Comparativ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ocial Reintegration: Focusing on Juvenile Detainees and Probatione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정주은(Ju-Eun Jung) 김동록(Dong-R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271~28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소년원생과 보호관찰 대상자의 사회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 및 위험요인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집단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가 특정 집단에 국한되거나 사회정착을 단순히 재범 방지의 관점에서 접근해 온 데 반해, 이 연구는 인지·태도와 행동을 포괄하는 사회정착 개념을 중심으로 개인, 가족, 사회, 제도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보호관찰 대상자 217명과 소년원 임시퇴원자 78명을 대상으로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통제력, 보호관찰관과의 애착, 사회적 지지 등은 두 집단 모두에게 사회정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소년원생 집단에서는 자기통제력과 보호관찰관과의 관계가 더 강하게 작용하였다. 반면, 스트레스, 학대경험, 우범 친구와의 접촉, 낙인 경험 등은 사회정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학대경험과 비행 또래의 영향은 소년원생 집단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제도권 수용 경험이 개인의 정서적 안정성과 사회적 행동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보호관찰 대상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와 친사회적 친구 관계가 행동 측면의 사회정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역사회 기반의 지원체계가 이들에게 실질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소년원생과 보호 관찰 대상자 간 사회정착 경로의 구조적 차이를 실증적으로 입증함으로써, 집단 특성에 따른 맞춤형 개입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수용시설 내에서의 정서적 치료, 자기통제력 함양 프로그램, 사회적 유대 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과 함께, 출원 후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를 위한 장기적 사후관리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대상 형사사법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재범률 감소 및 안전한 사회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key factors influencing social reintegration among two groups of justice-involved youth in South Korea: juvenile detainees and probationers. Moving beyond the conventional focus on recidivism prevention, this research adopt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social reintegration by examining both cognitive-attitudinal and behavioral aspects. Using nationally collected data from 295 individuals and apply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personal, familial, soci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The results reveal that self-control, parental attachment, social support, and officer attachment positively affect social reintegration in both groups, while stress, prior abuse, delinquent peer relationships, and perceived stigma negatively impact outcomes. Notably,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se effects differ by group. Juvenile detainees showed a stronger dependence on internal capacities and institutional relationships, while probationers benefited more from community support and prosocial peer interaction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group-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For juvenile detainees, programs focusing on emotional healing, self-regulation, and post-release mentoring are essential. For probationers, strengthening community networks and addressing social stigma are critical.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evidence-based youth reintegration policies aimed at reducing recidivism and supporting long-term social adap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착용기록장치’의 기능과 한계
- 도구적 요인 및 절차적 정의 요인의 법원 신뢰 영향 분석
- 혼잡·교통유도경비의 법체계 발전 방안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연계한 일머리 교육: 경호·보안직무를 중심으로
- 운전자의 인식 및 심리적 요인이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언론보도를 통한 온라인 사적제재의 탐색적 연구
- 지역 안전성 인식이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치경찰사무 만족도를 매개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무질서와 두려움 사이: 집합 효율성의 양면적 조절효과
- 경찰공무원의 우울증이 음주와 흡연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집회·시위 문화에 대한 시민과 경찰의 인식분석에 관한 연구
-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 사회정착 요인에 대한 다집단 비교 분석: 소년원생과 보호관찰 대상자를 중심으로
-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도박행위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 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자율방범대 활성화 방안: 지방의회 조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 형사정책연구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청소년복지연구
- 소년보호연구
- 보호관찰
- 보호관찰연구
- 보호관찰
- 형사정책연구
- 법무부 연구보고서
- 형사정책연구
- 한국 범죄심리연구
-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 Sage Publications
- Public Safety Canada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riminology
-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 Criminolog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