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itizens' and Police's Perception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Cultur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윤보한(Bo-Han Yun) 김효진(Hyo-J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165~18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회·시위 현장에서 시민과 경찰 그리고 집회·시위 참여자의 행태를 중심으로 각각의 변수 별로 발생하는 갈등과 충돌에는 어떤 논리가 숨어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연구모형과 가설을 통해 밝히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찾아 우리나라의 선진 집회·시위 문화의 정착을 위해서 실시하였다.
집회·시위와 관련하여 발생한 쟁점 사안에 대하여 일반시민, 경찰, 집회·시위 참여자 간에 발생하는 인식의 차이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실증분석을 하였다. 설문을 통해 일반시민과 경찰, 집회·시위 참여자의 인식 정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통계량 분석과 t-test,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집회·시위의 문화 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경찰의 신뢰성 확보와 집회·시위의 준법성 확립, 집회·시위의 법제도의 강화와 경찰 대응의 중요성에 대한 여러가지 제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민주적 집회·시위 문화의 정착을 위한 집회·시위의 인식개선과 인파관리 방안, 집회·시위의 교통관리 방안, 집회·시위의 소음관리 방안을 경찰 재직 시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제언을 하면서 마무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advanced rally and protest culture in Korea by finding out what logic is hidden in the conflicts and clashes that occur for each variable, focusing on the behavior of citizens, police, and participants in assembly and demonstrations at the site of assembly, and what are the ways to resolve the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degree of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the general public, the police, and the participants of the rally and demonstr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the police, and the participants of the rally and demonstration through the survey, basic statistics analysi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Statistics 20.0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various systems and methods on the importance of securing the credibility of the police, establishing compliance with the law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s, strengthening the legal system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s, and responding to them as a way to establish a desirable culture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Lastly, he concluded by making policy recommendations on how to raise awareness of assembly and protests, manage crowds, manage traffic for assembly, and manage noise from assembly and demonstrations based on his on-the-ground experience while working as a police officer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rally and protest culture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집회ㆍ시위에 관한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착용기록장치’의 기능과 한계
- 도구적 요인 및 절차적 정의 요인의 법원 신뢰 영향 분석
- 혼잡·교통유도경비의 법체계 발전 방안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연계한 일머리 교육: 경호·보안직무를 중심으로
- 운전자의 인식 및 심리적 요인이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언론보도를 통한 온라인 사적제재의 탐색적 연구
- 지역 안전성 인식이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치경찰사무 만족도를 매개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무질서와 두려움 사이: 집합 효율성의 양면적 조절효과
- 경찰공무원의 우울증이 음주와 흡연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집회·시위 문화에 대한 시민과 경찰의 인식분석에 관한 연구
-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 사회정착 요인에 대한 다집단 비교 분석: 소년원생과 보호관찰 대상자를 중심으로
-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도박행위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 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자율방범대 활성화 방안: 지방의회 조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