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ambling Behavior Types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심혜인(Hye-In Sim) 조윤오(Youn-Oh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2호, 145~1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5년 간 국내 도박중독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20대와 30대의 청년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청소년의 도박 경험률과 온라인 불법도박 노출도 빠르게 퍼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도박중독의 사회문제에 대해 예방 교육 및 조기개입 등 다층적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박중독 고위험군을 단순히 도박 이용행태에 집중하지 않고, 도박행위자의 다차원적인 접근을 통해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사행산업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우울), 사회적 지지, 도박 이용행태 변수를 활용하여 도박행위자의 유형을 잠재계층분석(LCA)을 실시하여 분류하고자 하였으며, 정서적 안정-도박 감소군(36.6%), 중등도 우울-부분적 감소군(21.6%), 고위험 우울-도박 유지군(41.8%)으로 분류되었다. 도박행위자의 유형이 도박 문제행동의 영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도박행위자의 유형, 불법도박 참여 경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도박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박행위자의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도박 이용행태에 따라 유형별로 도박 문제행동의 위험도가 유의미하게 상이하였으며, 중등도 우울-부분적 감소군과 고위험 우울-도박 유지군이 도박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법도박 경험과 낮은 소득, 30대 연령이 주요 도박 문제행동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박 문제행동 유형별 맞춤형 예방 및 치유, 조기 발견 및 개입 등 다층적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e past five years, the number of gambling addiction patients in Korea has continued to increase, with the largest proportion in 2024 being among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e rate of gambling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and exposure to online illegal gambling are also rapidly expanding.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multi-layered support system—such as preventive education and early intervention—has been emphasized to address the social problems of gambling addiction.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high-risk groups for gambling addiction not simply by gambling behavior, but throug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gambling actors. For this purpose, latent class analysis(LCA) was conducted using variables of mental health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gambling behavior among adults with experience in online gambling industries. As a result,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Emotionally Stable-Gambling Reduction Group (36.6%), Moderate Depression-Partial Reduction Group (21.6%), and High-Risk Depression-Gambling Maintenance Group (41.8%). To verify the influence of gambling behavior types on gambling problem behavi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effects of gambling behavior type, illegal gambling participation,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gambling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isk of gambling problem behavior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according to mental health, social support, and gambling behavior, with the Moderate Depression-Partial Reduction Group and High-Risk Depression-Gambling Maintenance Group exhibiting higher levels of gambling problem behavior. Illegal gambling experience, low income, and being in their 30s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gambling problem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multi-layered support system, including tailored prevention and treatment,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gambling problem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착용기록장치’의 기능과 한계
- 도구적 요인 및 절차적 정의 요인의 법원 신뢰 영향 분석
- 혼잡·교통유도경비의 법체계 발전 방안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연계한 일머리 교육: 경호·보안직무를 중심으로
- 운전자의 인식 및 심리적 요인이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언론보도를 통한 온라인 사적제재의 탐색적 연구
- 지역 안전성 인식이 자치경찰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치경찰사무 만족도를 매개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 무질서와 두려움 사이: 집합 효율성의 양면적 조절효과
- 경찰공무원의 우울증이 음주와 흡연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집회·시위 문화에 대한 시민과 경찰의 인식분석에 관한 연구
- 헌법상 알 권리와 경찰수사 심의위원 명단 공개 문제
- 사회정착 요인에 대한 다집단 비교 분석: 소년원생과 보호관찰 대상자를 중심으로
-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도박행위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 소규모 사업체의 직장 내 괴롭힘 영향 요인 분석: 일상활동이론의 관점
-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자율방범대 활성화 방안: 지방의회 조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