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조직 수준별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방경찰청과 소속경찰서 구성원의 차이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Police Organization Level - Difference Analysis between GyeongBuk Provincial Police Agency and Police Station Official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이정훈(Jung-Hu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7권 제4호, 103~12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한국경찰은 국민에 봉사하는 조직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경찰조직의 재편성 뿐만 아니라 경찰의 근무형태나 관행 등 끊임없이 개혁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들의 궁극적 목적인 지역주민들의 치안서비스 제공하기 위해서는 경찰조직과 경찰공무원의 사기와 만족과 같은 의미적인 부여가 절실히 필요하다. 즉, 경찰활동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이 중요하며, 경찰조직수준별 직무특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수준별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실증적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실증분석을 병행하였고,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추출된 가설들을 정립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경찰조직 수준별 직무특성에 대한 관련 직무요인으로 직무다양성, 직무중요성, 직무완결성, 자율성, 환류에다 조직요인으로 조직분위기, 구성원신뢰를 이용하였다. 연구분석 대상은 경북지방경찰청인 본청과 관할 경찰서의 경찰공무원들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하여 직무특성과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를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경북지방경찰청인 본청과 관할 경찰서의 구성원들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차이가 발생하였고, 직무특성 요인들이 내적 동기유발을 일으키는 데 강한 영향을 미쳤다. 결국 수행직무가 계획단계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구성원들의 자율, 참여와 신뢰요인이 직무만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ng powers of job satisfaction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police organization. This study adopted a questionnaire method in research of police officials in The Gyeongbuk Provincial Police Agency and Police s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58 police officials for empirical analysis. Techniques used in analyzing data were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oderating-regression analysis. SPSS 17.0 for windows programs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Chapter 1 establishes the research objectives, methodology and extent of the study, studies preceden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Chapter 2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police organization level. Chapter 3 deals with research design and selects dependent &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sets up hypotheses. Chapter 4 analyzes the research data empirically with the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oderating-regression analysis, tests a series of hypotheses and suggests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Chapter 5 provides summ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s research agenda for continuing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모형 및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훈(Jung-Hun Lee). (2011).경찰조직 수준별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방경찰청과 소속경찰서 구성원의 차이분석. 한국치안행정논집, 7 (4), 103-126

MLA

이정훈(Jung-Hun Lee). "경찰조직 수준별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방경찰청과 소속경찰서 구성원의 차이분석." 한국치안행정논집, 7.4(2011): 103-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