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olice Manager's Leadership Style and Empowerment : At the point of Police Chief and Middle Manager's Leadership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학범(Hak-Bum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7권 제4호, 27~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찰서장과 경찰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 경찰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리더십의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리더십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리더십 유형을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분류한 후, 이 두 가지 유형의 리더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경위이하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응비교와 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 경찰조직에 있어서는 경찰서장보다는 중간관리자에 대해서 더 큰 리더십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찰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유형이 부하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경찰서장과 견주어 전혀 부족하지 않는다는 점이 주된 연구의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한국경찰 조직에서는 적절한 보상을 통한 거래적 리더십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즉 기본적 보상과 기본적 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 리더일수록 구성원들의 상위욕구를 반영하고 개별적 배려와 업무의 효율성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서 요구되는 리더십 유형이 임파워먼트 하위요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것은 앞으로 경찰서장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찰 중간관리자의 교육제도 개선촉구라는 것으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and middle manager effect on empowerment. Consequently this study will offer effective ways to develop the police empowerment. This study divides the leadership into the transformational and the transactional and proves the effects of these two kinds of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researches the police officers from lieutenant to policeman and use the paired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 first, this study shows that middle manager has more powerful leadership than the police chief in korea police. And this study shows that the leadership kinds of the middle manager have no less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 members than those of the police chief on empowerment.
Second,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roves that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Korean police through proper compensations.
Namely, the more proper compensations and basic management skills the leader has, the more ideas to reflect wants of subordinates and to show individualized considerations and effects of works the leader offers.
Third, this study proves that the different kinds of leadership is asked to develop the empowerment according to subordinate facts of the empowerment.
This means that the education of middle manager is necessary and the education system of the middle manager will b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조사설계 및 방법
Ⅳ. 조사 결과의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범죄 대응방안
- 사이버테러범죄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지역경찰조직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분석 - 지구대와 파출소의 비교
- 인터넷상 사이버모욕죄 도입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분석 - KINDS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 프랑스 시큐리티 제도와 현황
-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 자치경찰기구의 갈등관리 전략 - 제주특별자치도 중심으로
- 경찰조직 수준별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방경찰청과 소속경찰서 구성원의 차이분석
- 음주로 인한 범죄행위에 대한 강제 치료적 개입방안
- 경찰관리자의 리더십유형과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 경찰서장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 한국군 위기관리 체계의 문제점과 대응 방향
- 중국인 유학생의 경찰인식 분석
- 중국 보안서비스의 발달과 과제
- 한국 생물테러리즘 대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