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ess Report Content Analysis about Act on Punishing Insulting Behaviors on Internet - Focused on the KINDS Newspaper Editorial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허원구(Won-Gu Hur)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7권 제4호, 81~10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상의 명예훼손과 모욕에 대한 언론보도의 형태가 최근 어떻게 보도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분석이 목적이다. 2008년, 2009년, 2010년 12월까지의 최근 3년간의 일간지 또는 주관지에 인터넷상의 명예훼손과 모욕에 대한 언론보도 형태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정책적 제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최근 인터넷 문화는 우리 생활 속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여 자리를 잡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인터넷상의 사회문제방지를 위한 사이버모욕죄의 도입과 관련하여 정책이슈화 과정과 정책결정에 중추역할을 수행하는 언론보도 대한 보도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첫째, 언론보도가 사이버모욕죄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언론보도행태에 어떤 특성을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정보통신정책과 관련하여 언론사별 논조의 차이가 드러난다면 언론사별 이념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사이버모욕죄 도입에 따른 보도는 동일한 현상을 두고 각 신문사가 어떻게 달리 보도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찬성과 반대를 표명한 언론사의 의도에 따라 사이버모욕죄 도입의 실체를 각기 다르게 전달했고 다른 의미를 부여하였다. 사이버모욕죄 도입에 대한 찬성론자들은 갈등과 대립을 확대하고자 하였고, 반대론자들은 사이버모욕죄 도입에 대한 정부의 준비소홀과 여론의 반대를 내세우면서 연기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각 신문사들의 언론보도행태가 사이버모욕죄을 어떤 상태로 인식하고 있느냐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인식들이 이후의 보도태도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언론매체의 보도에 따라 국민들의 여론과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데에 주목해야 한다. 사이버모욕죄의 도입에 대한 타당성 홍보 강화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올바른 사회문화의식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언론매체의 공정하고 전문적인 보도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ent analysis about recently the press report of the news about introducing the “Act on punishing insulting behaviors on internet”. The problem of showing up in the daily newspaper weekly of for 3years(2008, 2009, 2010) recently through the news examine for introducing the “Act on punishing insulting behaviors on internet” and to suggest the personal perspective on the issue.
Recently, the internet culture penetrates into the deep place into our inside of life and fixes. The report tendency treated the news performing the role of a center in connection with introducing the “Act on punishing insulting behaviors on internet”, for the social problem protection of the Internet policy issue process and decision making.
For the based on this analysis, Frist, “Act on punishing insulting behaviors on internet” is to examine a kind of characteristic in the press report behavior. Second,The difference of the press company by deep-tone of an argument is found in connection with polic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t can confirm with the press separation by the ideology whether there is any related or not.
According to the research introducing the “Act on punishing insulting behaviors on internet” showed clearly having the same phenomenon how each newspaper company reported differently. The substance of introducing the “Act on punishing insulting behaviors on internet” was differently deliver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ress company expressing an agreement for and against.
The advocates about introducing the “Act on punishing insulting behaviors on internet” tried to expand a conflict and opposition. Opponents insisted government the negligent preparation and public opinion.
Likewise, the press report behavior of each newspaper companies recognized “Act on punishing insulting behaviors on internet” as any kind of state, it reflected that these recognitions set up the direction of the later reporting attitude and it has the big influence.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press media, it has to pay attention to that the public opinion and recognition of the nations can be changed.
목차
Ⅰ. 서 론
Ⅱ. 사이버 모욕죄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분석방법 및 연구모형 설정
Ⅳ. 분석결과 및 정책적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범죄 대응방안
- 사이버테러범죄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지역경찰조직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분석 - 지구대와 파출소의 비교
- 인터넷상 사이버모욕죄 도입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분석 - KINDS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 프랑스 시큐리티 제도와 현황
-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 자치경찰기구의 갈등관리 전략 - 제주특별자치도 중심으로
- 경찰조직 수준별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방경찰청과 소속경찰서 구성원의 차이분석
- 음주로 인한 범죄행위에 대한 강제 치료적 개입방안
- 경찰관리자의 리더십유형과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 경찰서장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 한국군 위기관리 체계의 문제점과 대응 방향
- 중국인 유학생의 경찰인식 분석
- 중국 보안서비스의 발달과 과제
- 한국 생물테러리즘 대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