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uth Korea's Military Crisis Management System and th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Problem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만종(Man-Jo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7권 제4호, 53~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천안함 침몰 및 연평도포격 사건 이후 정부는 국가위기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 정비에 나섰다. 두 사건은 국가적 상황의 큰 위기상황이었다. 그러나 정부가 대응하는 과정은 문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천안함 사태 경우 예상하고도 대비하지 않은 태만은 감사 결과 드러난 우리군 지휘부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 그동안 전술토의 등을 통해 북한이 잠수정을 이용해 은밀히 공격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예상 했음에도 이를 방치하고 사건 발생 이후 대응에도 많은 곳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연평도폭침역시 북한의 다양한 도발 징후에 대한 정보감시체계와 초동조치 및 위기관리체제 보완, 민, 관, 군, 경 통합 해상구조 체계 발전, 군사력 건설 방향 재조정을 포함한 ‘국방개혁 2020’도 재점검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잠수함과 특수부대, 대량살상 무기 등 북한의 비대칭 전력과 침투 도발전력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을 우선 보강하여야 한다. 아울러 보고체계 미흡 등으로 초동조치의 미흡과 미숙한 대처로 국민들의 안보 우려감을 자아낸 정신적 이완 문제는 통렬히 반성해야 할 사항이다. 본고에서는 천안함 침몰사건과 연평도폭침사건을 교훈삼아 전 평시 위기 발생 시 우리군의 위기관리 시스템의 문제점과 국가의 위기관리체계를 검토하여 철저한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영문 초록
Yeonpyeongdo bombardment and subsequent sinking of the case the government of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went on general maintenance. Of the national situation, the two events was a major crisis situation. However, the process of the government response was not an issue or two.
If the situation is not expected to Cheonan, and failure to prepare the audit results were revealed, the biggest problem of our military commanders. Meanwhile, through tactical discussions with North Korea secretly attack submarines that are likely to neglect them even expected to respond after the incident had a problem in many places.
Also signs of North Korea's provocations provocative Yeonpyeongdo information on a variety of monitoring systems for first responders and crisis management systems and complementary, civil, pipe, military, Sir Integrated Water Structure System development, military construction, including re-orientation 'Defense Reform 2020 also reaffirmed the need to has been filed.
Especially submarines, special forces, includ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n North Korea in response to unequal power and penetration power for power provoked a priority should be reinforced. Due to lack of reporting systems for first responders, as well as the lack of security concerns people and inexperienced to cope with mental relaxation problem Should is bitterly ashamed. In this paper, Cheonan, sinking needle width and Yeonpyeongdo ago peacetime crisis in the wake of events in the event of a crisis management system, the problems of our military and the country's crisis management system to review the present lies in the direction of a thorough respon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군의 위기관리 체계 문제점
Ⅳ. 한국군 위기 대응체계 구축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범죄 대응방안
- 사이버테러범죄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지역경찰조직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분석 - 지구대와 파출소의 비교
- 인터넷상 사이버모욕죄 도입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분석 - KINDS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 프랑스 시큐리티 제도와 현황
-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 자치경찰기구의 갈등관리 전략 - 제주특별자치도 중심으로
- 경찰조직 수준별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방경찰청과 소속경찰서 구성원의 차이분석
- 음주로 인한 범죄행위에 대한 강제 치료적 개입방안
- 경찰관리자의 리더십유형과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 경찰서장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 한국군 위기관리 체계의 문제점과 대응 방향
- 중국인 유학생의 경찰인식 분석
- 중국 보안서비스의 발달과 과제
- 한국 생물테러리즘 대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