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성인의 일반적 특성과 걷기 일수가 당뇨병 진단 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4

영문명
Impa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alking Frequency on the Likelihood of Diabetes Diagnosis Among Korean Adults
발행기관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저자명
이은이(Eun-Yi Lee) 김광환(Kwang-Hwan Kim) 이무식(Moo-Sik Lee) 장주동(Ju-Dong Jang)
간행물 정보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4권 제1호, 226~243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해 한국성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걷기 일수와 당뇨병 진단 경험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당뇨병 진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성인 557,314명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성별, 연령대, 가구 소득, 교육 수준, 직업,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거주지역, 주택유형, 걷기 일수가 당뇨병 진단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걷기와 같은 신체활동은 당뇨병 예방 및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성별, 소득 수준, 직업 유형 등 다양한 요인들이 당뇨병 진단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다.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육체노동자, 그리고 소득 수준이 낮은 그룹에서 당뇨병 진단 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 걷기 일수가 높을수록, 수도권 거주자, 아파트 거주자, 고학력자에서 당뇨병 진단 경험이 유의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다. 걷기운동은 당뇨병 예방과 관리에 효과적인 신체활동으로 확인되었다. 걷기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 정책적 지원과 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걷기의 강도와 지속 시간을 고려한 장기적인 분석과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반영한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중심의 실천 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걷기 운동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과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number of walking days of Korean adults and the diabetes diagnosis experience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from 2021 to 2023,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diabetes diagnosis experience. A total of 557,314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assess the effects of gender, age group,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occupation, beneficiary status, region of residence, housing type, and number of walking days on the likelihood of diabetes diagno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physic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diabetes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various factors such as age, gender, income level, and job typ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being diagnosed with diabetes. As age increased, manual workers and groups with low income leve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diagnosis. On the other hand, females, those with a higher number of walking days,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apartment residents, and highly educated people tended to have significantly lower likelihoods of diagnosis. Walking was confirmed as an effective physical activity for diabetes prevention and management. Policy support environmental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walking practice rate. Future research should involve long-term analysis and follow-up studies that consider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walking. In addition,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programs that reflect socioeconomic factors and strengthen community-centered practice programs are need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developing health programs to promote walking exerci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이(Eun-Yi Lee),김광환(Kwang-Hwan Kim),이무식(Moo-Sik Lee),장주동(Ju-Dong Jang). (2025).한국 성인의 일반적 특성과 걷기 일수가 당뇨병 진단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4 (1), 226-243

MLA

이은이(Eun-Yi Lee),김광환(Kwang-Hwan Kim),이무식(Moo-Sik Lee),장주동(Ju-Dong Jang). "한국 성인의 일반적 특성과 걷기 일수가 당뇨병 진단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4.1(2025): 226-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