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alking Frequency on the Likelihood of Diabetes Diagnosis Among Korean Adults
- 발행기관
-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 저자명
- 이은이(Eun-Yi Lee) 김광환(Kwang-Hwan Kim) 이무식(Moo-Sik Lee) 장주동(Ju-Dong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4권 제1호, 226~243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해 한국성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걷기 일수와 당뇨병 진단 경험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당뇨병 진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성인 557,314명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성별, 연령대, 가구 소득, 교육 수준, 직업,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거주지역, 주택유형, 걷기 일수가 당뇨병 진단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걷기와 같은 신체활동은 당뇨병 예방 및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성별, 소득 수준, 직업 유형 등 다양한 요인들이 당뇨병 진단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다.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육체노동자, 그리고 소득 수준이 낮은 그룹에서 당뇨병 진단 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 걷기 일수가 높을수록, 수도권 거주자, 아파트 거주자, 고학력자에서 당뇨병 진단 경험이 유의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다. 걷기운동은 당뇨병 예방과 관리에 효과적인 신체활동으로 확인되었다. 걷기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 정책적 지원과 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걷기의 강도와 지속 시간을 고려한 장기적인 분석과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반영한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중심의 실천 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걷기 운동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과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number of walking days of Korean adults and the diabetes diagnosis experience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from 2021 to 2023,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diabetes diagnosis experience. A total of 557,314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assess the effects of gender, age group,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occupation, beneficiary status, region of residence, housing type, and number of walking days on the likelihood of diabetes diagno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physic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diabetes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various factors such as age, gender, income level, and job typ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being diagnosed with diabetes. As age increased, manual workers and groups with low income leve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diagnosis. On the other hand, females, those with a higher number of walking days,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apartment residents, and highly educated people tended to have significantly lower likelihoods of diagnosis. Walking was confirmed as an effective physical activity for diabetes prevention and management. Policy support environmental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walking practice rate. Future research should involve long-term analysis and follow-up studies that consider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walking. In addition,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programs that reflect socioeconomic factors and strengthen community-centered practice programs are need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developing health programs to promote walking exerci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음성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기의 위기와 문학을 통한 위로와 성찰 -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흡연 경험 유무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 협업 학습이 스페인어 학습자의 소통 능력 및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중심 접근법의 효과
- 중·장년층 1인가구의 미충족 의료경험 유형과 관련 요인 분석
- 디지털 콘텐츠 기반 발음 교육의 효과: 듣기 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대한 실증적 분석
- 병·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A형 행동유형, 통제 신념 및 자기 존중감과의 관련성
- Market Characteristics and Public Policies of Korean Healthcare Services : An Analysis of Rivalry and Excludability
-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and Gastrocnemius Static Self-Stretching Exercise on Balance
- Motivations for Studying German A1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치위생학과 학생과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식과 실천
- 대학병원 사무직 종사자의 조직 갈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코로나19 유행 초기 대구지역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의 예방 행태 실천
-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 간 자살시도 차이 분석 : 2021-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 대학병원 근무 여성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피로자각증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의약분업정책을 통한 다중흐름모형(MSF)의 검증 분석
- 한국 성인의 일반적 특성과 걷기 일수가 당뇨병 진단 경험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Clinical efficacy of dental implants placement without flap elev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mparing immediate and early loading protocols
- Nanomaterials in alveolar bone regener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clinical and clinical evidence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