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Fatigue Symptom in Female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 발행기관
-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 저자명
- 안명진(Myong-Jin Ahn)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4권 제1호, 24~46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여성 간호사들의 감정노동이 피로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여성 간호사 27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4년 9월에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자의 피로자각증상은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조사 대상자의 피로자각증상은 감정노동과 유의한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502, p<.001), 사회적 지지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487, p<.001). 조사 대상자의 감정노동과 피로자각증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종속변수인 피로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며(β=-0.451, p<.001), 독립변수인 감정노동이 피로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의성이 사라지지 않아(β=0.432, p<.001) 부분 매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과 피로자각증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Z=-4.583, p<.001). 이 같은 결과는 여성 간호사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피로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노동을 완충시키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bjective fatigue symptoms in female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subjects were 274 female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an online surve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September 202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labor, the more severe the fatigue symptoms were among the participants (p<.001), and lower levels of social support were also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fatigue symptoms (p<.001). The fatigue symptom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r=0.502, p<.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r=-0.487, p<.001).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was ver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fatigue symptom of the survey subjects. As a result, social support as a paramet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tigue symptoms as a dependent variable(β=-0.451, p<.001). In additi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 independent variable, on fatigue symptom was significant(β=0.432, p<.001), 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obel tes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fatigue symptom.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for female nurses has a mediating effect on buffering emotional labor affecting fatigue sympto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음성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기의 위기와 문학을 통한 위로와 성찰 -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흡연 경험 유무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 협업 학습이 스페인어 학습자의 소통 능력 및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중심 접근법의 효과
- 중·장년층 1인가구의 미충족 의료경험 유형과 관련 요인 분석
- 디지털 콘텐츠 기반 발음 교육의 효과: 듣기 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대한 실증적 분석
- 병·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A형 행동유형, 통제 신념 및 자기 존중감과의 관련성
- Market Characteristics and Public Policies of Korean Healthcare Services : An Analysis of Rivalry and Excludability
-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and Gastrocnemius Static Self-Stretching Exercise on Balance
- Motivations for Studying German A1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치위생학과 학생과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식과 실천
- 대학병원 사무직 종사자의 조직 갈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코로나19 유행 초기 대구지역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의 예방 행태 실천
-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 간 자살시도 차이 분석 : 2021-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 대학병원 근무 여성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피로자각증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의약분업정책을 통한 다중흐름모형(MSF)의 검증 분석
- 한국 성인의 일반적 특성과 걷기 일수가 당뇨병 진단 경험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Clinical efficacy of dental implants placement without flap elev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mparing immediate and early loading protocols
- Nanomaterials in alveolar bone regener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clinical and clinical evidence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