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 간 자살시도 차이 분석 : 2021-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이용수  106

영문명
Analysis of Differences in Suicide Attempts Between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and Medical Aid Beneficiaries : Using 2021-2022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발행기관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저자명
최인호(In-Ho Choi) 김광환(Kwang-Hwan Kim) 이무식(Moo-Sik Lee) 장주동(Ju-Dong Jang)
간행물 정보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4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 간 자살시도 차이를 분석하고,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1년과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건강보험 가입자 431,732명, 의료급여 수급자 19,102명, 총 450,834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자살시도는 1,136명(0.3%), 의료급여수급자의 경우 367명(1.9%)으로 의료급여 수급자의 자살시도율이 건강보험 가입자보다 높았다. PHQ-9 우울증 척도에 따른 자살시도 확률은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 모두 우울 정도가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강보험 가입자는 정상 대비 경미한 우울 1.635배, 중증도 우울 2.153배, 중증 우울 3.703배, 심한 우울이 5.992배 유의미하게 높았고, 의료급여 수급자는 정상 대비 중증도 우울 1.648배, 중증 우울 2.556배, 심한 우울이 4.873배 유의 미하게 높았다. 또한, 자살생각 경험이 있을수록 자살시도 확률은 건강보험가입자가 112.808배, 의료급여 수급자가 62.334배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정신건강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건강보험과 의료급여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자살 예방 정책 수립을 제안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장기적인 추적 연구를 통해 자살시도의 원인과 경로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uicide attempts between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and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e attempt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2021 and 2022 Community Health Survey were utilized, and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431,732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and 19,102 Medical Aid Beneficiaries, totaling 450,834 individuals. The results showed that 1,136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0.3%) and 367 Medical Aid Beneficiaries (1.9%) attempted suicide, indicating that the suicide attempt rate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was higher than that of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The probability of suicide attempts increased with the severity of depression on the PHQ-9 depression scale in both groups. Among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the odds were 1.635 times higher for mild depression, 2.153 for moderate depression, 3.703 for moderately severe depression, and 5.992 for severe depression. Among Medical Aid Beneficiaries, the odds were 1.648 times higher for moderate depression, 2.556 for moderately severe depression, and 4.873 for severe depression. In addition, the probability of suicide attemp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dividuals with suicidal ideation, with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showing a 112.808 times higher probability and Medical Aid Beneficiaries showing a 62.334 times higher probabil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mental health support for economically vulnerable populations and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that account for differences between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and Medical Aid Beneficiaries. Future research should conduct long-term follow-up studies to analyze the causes and pathways of suicide attempts in greater dep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인호(In-Ho Choi),김광환(Kwang-Hwan Kim),이무식(Moo-Sik Lee),장주동(Ju-Dong Jang). (2025).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 간 자살시도 차이 분석 : 2021-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4 (1), 1-23

MLA

최인호(In-Ho Choi),김광환(Kwang-Hwan Kim),이무식(Moo-Sik Lee),장주동(Ju-Dong Jang).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 간 자살시도 차이 분석 : 2021-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4.1(2025):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