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 and Status of Infection Control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Dental Hygiene Personnel
- 발행기관
-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 저자명
- 노윤아(Yun-Ah Noh) 박지윤(Ji-Yoon Park) 박지은(Ji-Eun Park) 안해인(Hae-In An) 정수연(Su-Yeon Jeong) 한은지(Eun-Ji Han) 김설희(Seol-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4권 제1호, 197~21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과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표준주의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분석하여 감염관리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24년 5월 14일부터 6월 2일까지 치위생(학)과 재학 중인학생과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식과 실천을 온라인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및 t-test 분석하였다. 집단별 표준주의 실천도 분석 결과, 치위생(학)과 학생이 손 위생, 날카로운 기구의 안전한 관리, 안전한 주사 방법. 멸균 기구와 장비, 표면관리 5개 영역 인식과 실천 평균이 치과위생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감염관리 교육 여부에 따른 실천도 분석 결과 치위생(학)과 학생, 치과위생사 모두 교육을 이수한 집단이 미이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감염관리 교육 여부에 따른 두 집단의 항목별 실천도 평균값을 비교하였을 때 치과위생사가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중 학생 관점 감염 문제 분석 결과 표면관리, 개인보호구 착용은 잘 수행되지 않는다고 인식되어, 치과위생사 개인보호구 착용 인식과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학생 실습시감염관리 문제점과 현직 치과위생사의 실천에 차이가 있는 바 치위생(학)과 학생, 치과위생사 모두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 및 주기적 감염관리 자체평가를 통해 의료진 및 환자안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standard precaution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nd dental hygienists. From May 14 to June 2, 2024,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standard precaution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nd dental hygieni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using SPSS 22.0 (IBM Corp., Armonk, NY, US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ndard precaution practice by group, the average awareness and practice of five areas (hand hygiene, safe management of sharp instruments, safe injection methods, sterilization of instruments and equipment, and surface management) were higher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than among dental hygieni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ractice according to infection control education, the group that completed th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e group that did not complete the education. In addition, when the average values of the practice of each item of the two groups according to infection control education were compared, the difference was higher among dental hygienists than among student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institution and recognized that surface management, especially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as not being performed well,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erception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evaluated by dental hygienists themselves. In conclusion, both dental hygiene students and dental hygienists need to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infection control, and as the students recognized the problems through the survey, dental medical institutions also need to establish an infection control week to periodically find and improve problems within the institution so that all patients using the medical institution can receive safe treatment and work.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음성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기의 위기와 문학을 통한 위로와 성찰 -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흡연 경험 유무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 협업 학습이 스페인어 학습자의 소통 능력 및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중심 접근법의 효과
- 중·장년층 1인가구의 미충족 의료경험 유형과 관련 요인 분석
- 디지털 콘텐츠 기반 발음 교육의 효과: 듣기 능력과 자기 효능감에 대한 실증적 분석
- 병·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A형 행동유형, 통제 신념 및 자기 존중감과의 관련성
- Market Characteristics and Public Policies of Korean Healthcare Services : An Analysis of Rivalry and Excludability
-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and Gastrocnemius Static Self-Stretching Exercise on Balance
- Motivations for Studying German A1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치위생학과 학생과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식과 실천
- 대학병원 사무직 종사자의 조직 갈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코로나19 유행 초기 대구지역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의 예방 행태 실천
-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 간 자살시도 차이 분석 : 2021-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 대학병원 근무 여성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피로자각증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의약분업정책을 통한 다중흐름모형(MSF)의 검증 분석
- 한국 성인의 일반적 특성과 걷기 일수가 당뇨병 진단 경험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Clinical efficacy of dental implants placement without flap elev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mparing immediate and early loading protocols
- Nanomaterials in alveolar bone regener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clinical and clinical evidence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