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an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Program on Occupational Performance, Fine Motor Proficiency, and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권성애 박윤이 최진슬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4권 제3호, 79~9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 능력,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 8세의 발달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총 13회기에 걸쳐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작업 수행 능력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을 활용해 주 보호자와의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평가하였고, 소동작 기술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의 미세 운동 정확성(fine motor precision), 미세운동 통합(fine motor integration),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의 세 하위 항목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은 일화기록을 기반으로 조작적 정의에 따라 행동 키워드를 중심으로 점수화하였으며, Python 3.11.12 버전을 활용해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대상자는 중재 이후 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에서 2점 이상 향상을 보였으며, BOT-2의 세하위 항목과 등가연령 점수에서도 향상되었다.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에서는 자기표현, 협력, 자기조절영역에서 긍정적인 행동 변화가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입학 초기 발달장애 아동에게 구조화된 학교 적응 지원 프로그램이 작업 수행,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structure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program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fine motor proficiency, and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Four 8-year-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featur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13 sessions.
Occupational performance was evalua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rimary caregivers using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Fine motor skills were assessed using three subtestsfrom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 (BOT-2): Fine Motor Precision, Fine Motor Integration, and Manual Dexterity. Social interaction skills were scored based on predefined behavioral indicators from anecdotal records and analyzed using Python 3.11.12.
Results: All participants showed clin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 2 points) in bo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cores on the COPM scale. Moreover, BOT-2 subtest and age-equivalent scores also improved. Positive changes were noted in social interaction domains, including assertion, cooperation, and self-regulation.
Conclusion: The program effectively supported school adjustment by enhancing the functional performance and social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cologically grounded interventions within school contexts and suggest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with broader populations and extended outcome domain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 찰
V.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고령자의 생활습관 유형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복귀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보호자의 정신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체계적 고찰
- 어깨 전후방 활주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어깨 전후방 활주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rmotherapy and cryotherapy on pain and fear during intravenous cannu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