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eyond Borders: Self-Narratives, Agency, and Intersectional Writing in 『Crossing the Border, Transforming Our World』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장영은(Young-Eun Jang)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제211집, 129~15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탈북 여성 박지현과 남한 출신의 채세린이 함께 쓴 『가려진 세계를 넘어』(2021)를 행위 주체성의 관점에서 독해하며, 탈북 여성의 자기서사와 교차적 글쓰기의 윤리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2008년 영국에 정착한 박지현은 2015년에 인터뷰를 계기로 만난 채세린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했다.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국가에서 성장하고 파리에서 대학을 다닌 채세린은 박지현과의 대화를 프랑스어로 옮기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고, 박지현은 채세린의 제안을 수락했다. 이들의 협업은 2019년 프랑스에서 첫 결실을 맺었다. 박지현과 채세린의 책은 이후 영어, 한국어, 중국어, 체코어 등으로 번역되었다. 이 글에서는 탈북 여성 서사가 미국과 남한 중심의 관점에서 성공 서사나 수난사로 소비되는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박지현과 채세린의 교차적 글쓰기에서 확인되는 탈정체화의 윤리를 고찰했다. 영미권에서 탈북 여성과 대필 작가가 함께 탈북 여성의 수기를 완성하는 경우가 많지만, 박지현과 채세린은 공동 저자로서 작업을 진행했다. 또한, 저자들이 말과 글의 위계를 해체하는 실험적인 양식을 적극 도입했다는 점에서 『가려진 세계를 넘어』는 특별한 서사적 위치를 차지한다. 이 글에서는 『가려진 세계를 넘어』의 문학적 성취와 더불어 집필 과정에서 두 저자가 우정과 평화의 가치를 실천하며 입증한 수행성에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박지현과 채세린은 분단 체제로 고착화된 이념적 대립과 적대감을 교차적 글쓰기로 해체하고, 그 과정에서 통일의 의미를 체득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Crossing the Border, Transforming Our World』 (2021), co-authored by North Korean defector Park Ji-hyun and South Korean writer Chae Se-rin, through the lens of agentive subjectivity. In 2008, Park settled in the UK, and in 2015 she met Chae through an interview and asked for her assistance in narrating her life story. Chae, who was raised in a Francophone African country and studied in Paris, proposed to write the book in French, and Park agreed. Their collaboration culminated in a French publication in 2019, which has sinc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Korean, Chinese, and Czech.
This study critiques the ways in which narratives of North Korean women are often consumed through U.S.- and South Korea-centered frameworks as either success stories or tales of victimhood. In contrast, Park and Chae’s intersectional authorship challenges such reductive modes of representation by foregrounding practices of de-identification. Unlike the common ghostwriting model frequently seen in the Anglophone world, Park and Chae worked together as equal co-authors and employed an experimental narrative form that subverts the conventional hierarchy between speech and writing.
This article explores both the literary achievement of 『Crossing the Border, Transforming Our World』 and the performative significance of the co-writing process, through which the authors enacted the values of friendship and peace. Their intersectional writing practice dismantles the ideological antagonism entrenched by the Korean division system and embodies a lived understanding of reunification.
목차
1. 탈북 여성의 서사적 위치
2. 남북 여성의 만남과 타자 인식의 윤리
3. 자기 삶을 타인과 함께 쓰기
4. 탈정체화의 정치와 새로운 연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솔 최현배의 시조 인식과 옥중(獄中) 시조의 의미
- 최현배의 사회사상 연구 - 「조선민족갱생의 도」와 『민주주의와 국민도덕』을 중심으로
- 수신사 및 조사시찰단 필담의 범주와 유형
- 국경 밖 북한 여성의 자기서사와 행위 주체성- 『가려진 세계를 넘어』와 교차적 글쓰기의 가능성
-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면주전 구성원의 승진과 금융 네트워크
- 서울올림픽과 도시경관의 재구성 - 한강종합개발사업과 목동 신시가지 개발
- 최현배의 문자개혁론 - 『글자의 혁명』을 중심으로
- 孫文의 아시아주의의 궤적과 현재성 : 동아시아론 계보상의 위치
- 자유주의자, 공산주의자, 그리고 일본인 - 경성콤그룹 신문조서에서의 김태준
- 6·25전쟁기 공군 정훈 연구 : 공군 발행 잡지 『코메트』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