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n Choi Hyeon-bae's theory of letter reform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고영진(Young-jin Ko)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제211집,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글자의 혁명』은 최현배의 수많은 저서 가운데에 그가 가장 애착을 보였던 책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책은, 그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수감되어 있는 동안 옥중에서 ‘목숨’을 걸고 완성하여, 노심초사하며 가지고 있다가, 1945년 8월 해방의 날을 맞아 옥 밖으로 가지고 나와 세상에 내놓은 것이었기 때문이다.
내용 역시 제목에 걸맞게 가히 ‘혁명’적인 것으로서, 그 부제에 붙어 있듯이 ‘한자 안 쓰기와 한글 가로씨기’에 대한 것이었다. ‘한자 안 쓰기’란 말 그대로 한자를 폐지하고 한글만으로 글자 생활을 영위하자는 것이고, ‘한글 가로씨기’란, 한글을 완전히 환골탈태시켜, 가로로, 그것도 완전히 풀어서 쓰자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대단히 혁명적일 수밖에 없는데, 그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한글이 대단히 훌륭한 문자임에도 불구하고 모아쓰기로 인한 단점이 너무나 크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즉, 모아서 쓰는 것으로 말미암아, 한글은 글을 쓰기에도, 인쇄하기에도, 읽기에도 불편해져 버렸다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시경 이래 계속 제시되어 온 것이 한글의 풀어쓰기(최현배의 용어로는 가로씨기)이다. 당연히 이를 위해서는, 가로씨기에 어울리는 글자를 새로 만들어야 했으며, 맞춤법도 그에 걸맞게 수정해야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왜 그렇게까지 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경우의 장점은 무엇이며, 문제점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설명해야 했다.
최현배의 『글자의 혁명』은 바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 전반적인 설명을 하면서, ‘한자 안 쓰기와 한글 가로씨기’를 주장한 글이다. 그가 이렇게 강력하게 주장한 데에는 이렇게 함으로써 비로소 해방된 조국에서 새로운 민주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숭고한 목표에도 불구하고, 최현배의 글자의 혁명 가운데에, ‘한자 안 쓰기’는 성공했으나, ‘한글 가로씨기’는 실패하고 만다. 그렇게 된 데에는 최현배가 제시한 ‘가로글씨’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더불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가 선택한 방법이 엘리트주의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관료주의적이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결국 최현배의 ‘글자의 혁명’이 절반의 실패 혹은 절반의 성공밖에 거둘 수 없었던 데에는 이러한 문제들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Revolution of Letters was the book that Choi Hyeon-bae valued even more than Urimalbon(Korean Grammar). The content was also ‘revolutionary’, it was about not using Chinese characters and horizontal writing of Hangul.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lthough Hangul is a very fine character, it has too many problems because it is written like 한, instead of ㅎㅏㄴ. In other words, by putting the characters together, Hangul has become a very inconvenient character to write, print, and read. Naturally, Hangul should be completely improved to suit horizontal writing, and orthography should be revised accordingly. And above all, it was necessary to explain why we had to do so, and what are the advantages in that case and how we could overcome the expected problems.
The Revolution of Letters is a book that emphasizes the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horizontal writing of Hangul while providing a general explanation of these problems. Choi made such a strong argument because he believed that he could build a new democratic society in his homeland which was liberated by doing so. However, in order to achieve such a noble goal, the method chosen by Choi was not only elitist but also very bureaucratic. In the end, it seems that Choi's revolution of letters failed because of the undemocratic nature in such a mean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최현배의 업적에서 『글자의 혁명』이 차지하는 위치
3. 왜 글자의 혁명인가?
4. 글자의 혁명의 공과
5.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현배의 문자개혁론 - 『글자의 혁명』을 중심으로
- 외솔 최현배의 시조 인식과 옥중(獄中) 시조의 의미
- 최현배의 사회사상 연구 - 「조선민족갱생의 도」와 『민주주의와 국민도덕』을 중심으로
- 孫文의 아시아주의의 궤적과 현재성 : 동아시아론 계보상의 위치
- 수신사 및 조사시찰단 필담의 범주와 유형
- 국경 밖 북한 여성의 자기서사와 행위 주체성- 『가려진 세계를 넘어』와 교차적 글쓰기의 가능성
-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면주전 구성원의 승진과 금융 네트워크
- 자유주의자, 공산주의자, 그리고 일본인 - 경성콤그룹 신문조서에서의 김태준
- 6·25전쟁기 공군 정훈 연구 : 공군 발행 잡지 『코메트』를 중심으로
- 서울올림픽과 도시경관의 재구성 - 한강종합개발사업과 목동 신시가지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최현배의 문자개혁론 - 『글자의 혁명』을 중심으로
- 외솔 최현배의 시조 인식과 옥중(獄中) 시조의 의미
- 최현배의 사회사상 연구 - 「조선민족갱생의 도」와 『민주주의와 국민도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