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rajectory and Contemporary Relevance of Sun Yatsen’s Asianism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백영서(Youngseo Baik)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제211집, 75~1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필자가 지금 구상 중인 중국 (동)아시아담론의 계보를 탐구하는 큰 과제의 일부로서 이 글에서는 손문의 아시아주의의 의미를 다시 음미해보고자 한다. 여기서 그가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을 분별해 분석함으로써 그의 사상과 실천을 좀더 깊이 이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그의 아시아주의라는 ‘자원’이 현재적 의미를 갖는지를 탐구할 수 있겠다. 구체적으로 손문의 아시아주의가 1910~20년대 중국의 동시대 다른 사상가들(특히 李大釗)의 아시아주의와 연동하면서도 그만의 독특성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주목한다. 이어서 탈냉전 시기 대두한 (동)아시아담론의 주요 흐름인 ‘방법으로서의 아시아’를 둘러싼 논의, 필자 식으로 이름 붙이면 ‘중국의 상대화/역사화’ 조류에 중점을 두면서, 그것이 손문의 아시아주의와 어떤 연결 지점을 갖는지 살펴본다.
이와같이 20세기 초 중국에서 아시아를 말하는 것과 21세기 초 아시아를 말하는 것의 차이를 중시함으로써 세계체제 내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위치의 변화, 곧 반-식민지에서 ‘글로벌 차이나’로의 이행이 빚어내는 담론의 효과 차이를 밝힐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손문의 아시아주의를 역사 맥락 속에서 상대화하고 그 현재성을 확인하는 데 요구되는 절차일 터이다.
영문 초록
As part of a broader project to explore the genealogy of Chinese (East) Asian discourse, this paper reexamines the meaning of Sun Yatsen’s Asianism. By distinguishing between what he articulated and what he left unsaid, we can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his thought and practice to judge whether his concept of Asianism remains relevant intellectual resource today.
In particular, I consider the unique significance of Sun’s Asianism in its intersections with a divergence from the Asianist ideas of other Chinese thinkers of the 1910s and 1920s-especially Li Dazhao(1889—1927). The paper then turns to postCold War debates on (East) Asian discourse, particularly the paradigm of “Asia as Method” which are framed as a current of “relativizing/historicizing China” to explore potential points of connection between this discourse and Sun Yatsen’s Asianism.
By foregrou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courses on Asia in early 20th and 21st centuries, this study highlights the shift in China’s position within the global system―from a semicolonial state to “Global China”―and the resultant transformation in the effects and stakes of East Asian discourse. This process is essential for historically contextualizing and relativizing Sun’s Asianism and for assessing its contemporary significance.
목차
1. 문제의식의 소재
2. 손문의 아시아주의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배경과 논리구조
3. 손문의 아시아주의 구조(1): 정세론
4. 손문의 아시아주의의 구조(2): 문명론
5. 손문의 아시아주의의 향방과 21세기 아시아인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솔 최현배의 시조 인식과 옥중(獄中) 시조의 의미
- 최현배의 사회사상 연구 - 「조선민족갱생의 도」와 『민주주의와 국민도덕』을 중심으로
- 수신사 및 조사시찰단 필담의 범주와 유형
- 국경 밖 북한 여성의 자기서사와 행위 주체성- 『가려진 세계를 넘어』와 교차적 글쓰기의 가능성
-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면주전 구성원의 승진과 금융 네트워크
- 서울올림픽과 도시경관의 재구성 - 한강종합개발사업과 목동 신시가지 개발
- 최현배의 문자개혁론 - 『글자의 혁명』을 중심으로
- 孫文의 아시아주의의 궤적과 현재성 : 동아시아론 계보상의 위치
- 자유주의자, 공산주의자, 그리고 일본인 - 경성콤그룹 신문조서에서의 김태준
- 6·25전쟁기 공군 정훈 연구 : 공군 발행 잡지 『코메트』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