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과 충동구매, 관계품질 및 고객감동 간의 영향 관계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Virtual Influencers’ Characteristics on Impulse Buying,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Delight
발행기관
한국물류학회
저자명
조희영(Hee-Young Cho) 김도하(Do-Ha Kim) 이운영(Woon-Young Lee)
간행물 정보
『물류학회지』제35권 제3호, 117~13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활용이 광고에서 정보원천이 갖는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대안으로 보고,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을 매력성, 전문성, 진정성, 소통성, 의인화로 구성하여 충동구매와 관계 품질, 충동구매와 관계품질이 고객감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에서 가상 인플루언서의 광고를 접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약 10일간 진행하여 이상치 등을 제외한 330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가설은 구조방정식모형(CB-SEM) 분석을진행한 결과, 첫째,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 중 매력성, 진정성, 소통성이 충동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력성, 진정성, 소통성, 의인화가 관계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동구매와 관계품질이 각각 고객감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을 매력성, 전문성, 진정성, 소통성, 의인화로세분화하여 각 특성이 소비자 행동(충동구매, 관계품질, 고객감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가상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디지털마케팅 전략 수립 시, 가상 인플루언서의 외적 매력도를 높이고, 진정성 있는콘텐츠를 제작 및 팔로워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전략을 통해 구매 전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적인 고객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의인화 요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virtual influencers as a viable alternative to mitigate risks associated with information sources in advertising.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were categorized into five dimensions: attractiveness, expertise, authenticity, interactivity, and anthropomorphism.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d how these characteristics influence consumer behaviors, specifically impulse buying,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delight. A survey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approximately 10 days, targeting consumers who had previously encountered advertisements featuring virtual influencers on social media. After removing outliers, 330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covariance-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B-SEM), an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ttractiveness, authenticity, and interactiv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impulse buying. Second, attractiveness, authenticity, interactivity, and anthropomorphism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relationship quality. Third, both impulse buying and relationship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delight.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contribution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differentiated effects of each virtual influencer characteristic on consumer behavior.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suggest that marketing strategies involving virtual influencers should focus on enhancing external attractiveness, creating authentic content, and fostering active interactions with followers to increase purchase conversion. Furthermore, to build long-term customer relationships,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anthropomorphic elements in virtual influencer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희영(Hee-Young Cho),김도하(Do-Ha Kim),이운영(Woon-Young Lee). (2025).가상 인플루언서 특성과 충동구매, 관계품질 및 고객감동 간의 영향 관계. 물류학회지, 35 (3), 117-131

MLA

조희영(Hee-Young Cho),김도하(Do-Ha Kim),이운영(Woon-Young Lee).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과 충동구매, 관계품질 및 고객감동 간의 영향 관계." 물류학회지, 35.3(2025): 117-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