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s Between Probation Youth Violent Behavior and Delinquency Trigger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효민(Hyo-M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2호, 131~14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체육계 부패방지제도 인지도와 부패행위 신고의향 간의 관계에서 부패행위 심각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2021년 스포츠계 부패 실태 및 관련 제도 개선 연구의 2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체육계 종사자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체육계 부패방지제도 인지도는 부 패행위 신고의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부패행위 심각성 인식 역시 매개효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학력과 활동영역 등 일부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신고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체 육계 부패방지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단순한 제도 인지도 제고를 넘어, 부패행위 심각성에 대한 체계적 교육과 인식 개선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eriousness of corrupt practi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anti-corruption systems and the intention to report corrupt acts in the Korean sports sector. Utilizing secondary data from the 2021 survey on corruption in sports and related system improvement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performed on 203 sports professionals. The results showed that awareness of anti-corruption system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port, nor did the perceived seriousness of corrupt practices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However, certai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and field of ac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d reporting inten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nti-corruption policies in sports, systematic education and awareness-raising about the seriousness of corruption should accompany efforts to increase institutional awarenes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로환경 무질서 인식이 고령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1권 제2호 목차
- 여성 사이코패스 범죄자의 공격성 연구 - PCL-R 및 로르샤하 검사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부모 애착이 사이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력을 통한 사이버 자신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체육계 부패방지 제도 인지도와 신고 의향의 관계에서 부패행위 심각성 인식의 매개효과: 인지-태도-행동 이론적 접근
- 스토킹업무 담당 경찰관의 직무만족, 역량, 스트레스에 관한 인식 차이
- 부정적 미디어 노출이 민주적 경찰활동에 미치는 영향
- 성범죄 관련 사건에서 성인지 감수성의 재판에서의 변화양상 -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 우울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열등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보호관찰 청소년 위반행동과 비행유발요인의 영향관계
- 한국 스포츠 사회의 폭력: 언론보도 내용분석을 통한 해결방안 모색
- 정부 부패에 대한 인식과 국가의 부패 통제 수준이 시민의 법 준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개인과 국가 수준 변수를 활용한 다수준 분석
-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환경적 순응 가설의 검증: 연령에 따른 환경적 요인 영향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