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iolence in Korean Sports: Finding Solution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Media Report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권창기(Chang Ki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2호, 7~2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스포츠 사회에서 발생하는 폭력 문제의 실태와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예방 및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선행연구와 법제 동향을 먼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언론 보도 분석을 통해 한국 스포츠 폭력 문제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예방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또한 최근 1년간의 국내 주요 언론에 보도된 스포츠 폭력 관련 기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스포츠 사회의 폭력은 학교 폭력, 지도자 폭력, 성폭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권위주의적인 지도 문화, 승리지상주의, 폭력에 대한 묵인 및 은폐, 미흡한 선수 인권 보호 시스템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the actual situation and causes of the violence problem in Korean sports society, and to explore effective prevention and response measur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first analyzed prior research and legislative trends, and then analyzed media reports to further characterize the nature of the problem of violence in Korean sports and to propose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prevention and response measures. In addition,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sports violence-related articles reported in major Korean media over the past year. The analysis revealed that violence in the Korean sports community manifests itself in various forms, including school violence, leader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is caused by a combination of factors, including authoritarian leadership culture, triumphalism, silence and concealment of violence, and inadequate athlete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s. blishment of the independent department were suggested and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police role was suggested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및 법제 동향
3. 언론보도 내용 분석
4. 스포츠 폭력 예방 및 대응 방안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로환경 무질서 인식이 고령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1권 제2호 목차
- 여성 사이코패스 범죄자의 공격성 연구 - PCL-R 및 로르샤하 검사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부모 애착이 사이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력을 통한 사이버 자신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체육계 부패방지 제도 인지도와 신고 의향의 관계에서 부패행위 심각성 인식의 매개효과: 인지-태도-행동 이론적 접근
- 스토킹업무 담당 경찰관의 직무만족, 역량, 스트레스에 관한 인식 차이
- 부정적 미디어 노출이 민주적 경찰활동에 미치는 영향
- 성범죄 관련 사건에서 성인지 감수성의 재판에서의 변화양상 -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 우울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열등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보호관찰 청소년 위반행동과 비행유발요인의 영향관계
- 한국 스포츠 사회의 폭력: 언론보도 내용분석을 통한 해결방안 모색
- 정부 부패에 대한 인식과 국가의 부패 통제 수준이 시민의 법 준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개인과 국가 수준 변수를 활용한 다수준 분석
-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환경적 순응 가설의 검증: 연령에 따른 환경적 요인 영향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