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est of the Environmental docility Hypothesis on Fear of Crime Among Rural Resid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by Age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박준호(Jun Ho Park) 황의갑(Eui Gab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2호, 37~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노인학의 ‘환경적 순응 가설(environmental docility hypothesis)’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농어촌지역 주민들을 대상 으로 지역사회 환경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연령이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2020년 국민안전 보장을 위한 형사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Ⅴ): 도서산간 및 농 어촌지역 안전실태와 개선방안’2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구체적 범죄두려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무질서 인식, CPTED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조절변수인 연령의 경우 단일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연령-집합효율성 의 상호작용항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낮은 집단과 평균인 집단에서 집합효율성의 통계적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으나, 연령이 높은 집단의 경우 집합효율성의 부(-)적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하여 범죄두려움 연구에 있어서 환경적 순응 가설에 근거한 추가적인 경험적 연구 수행을 제안하였으며, 농어촌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활성화 정 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s the Environmental Docility Hypothesis from gerontolog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fear of crime among rural residents in South Korea.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age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second-wave data from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s study titled “2020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Justice Policy for National Safety (V): Safety Condi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Remote Island and Rural Areas” were utilized. The main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perceived disorder an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pecific fears of crime, while the main effect of age as a moderator was not confirmed. However, when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age and collective efficacy, it was found that while collective 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younger and middle-aged groups, it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older age group.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empirical research grounded in the Environmental Docility Hypothesis regarding fear of crime is suggested. Additionally, the need for policy development aimed at revitalizing community engagement in rural areas is recommended.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로환경 무질서 인식이 고령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1권 제2호 목차
- 여성 사이코패스 범죄자의 공격성 연구 - PCL-R 및 로르샤하 검사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부모 애착이 사이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력을 통한 사이버 자신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체육계 부패방지 제도 인지도와 신고 의향의 관계에서 부패행위 심각성 인식의 매개효과: 인지-태도-행동 이론적 접근
- 스토킹업무 담당 경찰관의 직무만족, 역량, 스트레스에 관한 인식 차이
- 부정적 미디어 노출이 민주적 경찰활동에 미치는 영향
- 성범죄 관련 사건에서 성인지 감수성의 재판에서의 변화양상 -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 우울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열등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보호관찰 청소년 위반행동과 비행유발요인의 영향관계
- 한국 스포츠 사회의 폭력: 언론보도 내용분석을 통한 해결방안 모색
- 정부 부패에 대한 인식과 국가의 부패 통제 수준이 시민의 법 준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개인과 국가 수준 변수를 활용한 다수준 분석
-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환경적 순응 가설의 검증: 연령에 따른 환경적 요인 영향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