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아무르>를 통해 본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 - 죽음이 배제된 삶, 삶이 배제된 죽음
이용수 0
- 영문명
- The Life and Death of the Latter-Life Elderly in the Movie 〈Amour〉 : Life without Death, Death without Life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양영자(Yeung Ja Yang)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4호, 305~3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 〈아무르〉에 재현된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을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분석·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영화 장면과 대본을 주인공 부부인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에 초점을 맞추어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프랑스 파리에 거주하는 전직 음대교수인 80대 부부로서 경제·문화·사회·가정적으로는 안온한 중산층의 후기노년기를 보내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들의 후기노년기 삶 속에서는 죽음이 준비되지 못한 채 배제되어 있었다. 그러다 아내가 뇌졸중 증상을 보이면서, 이들의 안온한 중산층의 후기노년기 삶은 (피)돌봄과 죽음의 이중적 무게로 소진되어 가는 죽어감의 과정으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이러한 삶이 배제된 죽어감의 과정은 급기야 각각 타살과 자살이라는 비극적 결말로써 앞당겨 끝이 나고 있었다. 즉, 이들 부부의 후기노인으로서의 삶은 죽음이 준비되지 못한, 배제된 삶이었고, 이들의 죽음은 삶이 배제된 죽어감을 거쳐 앞당겨진 것이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에 시사하는 함의를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life and death of the latter-life elderly in the movie 〈Amour〉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Accordingly, the scenes and scripts of the film were analyze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focusing on the lives and death of the main couple, the latter-life elderly. As a result, they are a couple in their 80s, retired music professors living in Paris, France, and they are enjoying a comfortable middle-class latter-life old age economically, culturally, socially, and familiarly. However, in their latter-life old age, death was excluded and unprepared for. Then the wife suffered a storke, and their comfortable middle-class latter-life lives were rapidly transforming into a dying process that was exhausting under the dual pain of care and death. And the dying process from which these lives were excluded was finally brought to a tragic end of murder and suicide. That is, the lives of this couple in their latter-life old age were lives in which deaths were excluded, and their deaths were brought forward through death in which lives were exclud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the life and death of the latter-life elderly were discussed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목차
I.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방법
IV.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 죽음이 배제된 삶, 삶이 배제된 죽음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4호 목차
- 비수도권대학 여학생의 진로 관련 어려움 극복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노숙인거주시설 이용인의 영성에 맞닿은 알코올 중독 회복 경험
-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영화 <아무르>를 통해 본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 - 죽음이 배제된 삶, 삶이 배제된 죽음
-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아버지 대처 내러티브 탐구
- 예술기반 질적연구로서 그래픽노블의 방법론적 가능성 탐구
- 농인의 가족사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교사들의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통합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 30대 청년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가 체험한 생활세계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트랜스젠더의 트랜지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트랜스여성 대상으로
- 착취자본주의 시대에 대항적-대안적 심리상담 접근: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