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기반 질적연구로서 그래픽노블의 방법론적 가능성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Methodological Potential of Graphic Novels as Arts-Based Qualitative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하일(Il Ha)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4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간의 경험을 깊이 있게 탐구하려는 질적 연구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시작된 예술 기반 질적 연구는 예술의 다양한 장르를 통해 그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안적 글쓰기에 대한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대중성을 중시하는 만화 장르인 그래픽 노블을 예술 기반 질적 연구의 도구로서 그 가능성을 제시하려고 했다. 따라서 그래픽 노블이 진정성을 어떻게 구현하고, 대안적 글쓰기로서 재현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고, 그래픽 노블의 서사적, 시각적 기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그래픽 노블은 개인적 경험을 대중과 공유하는 매개체로 작동하며,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만화의 표현 전략은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고, 사회적 담론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그래픽노블이 예술기반 질적 연구에서 새로운 접근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o fulfill the need for in-depth exploration of human experiences, arts-based qualitative research has emerged, continuously uncovering possibilities through various artistic genr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tential of graphic novels, a genre of comics that values accessibility, as a tool for arts-based qualitative research to meet the demand for alternative forms of writing. Thus,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graphic novels convey authenticity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on as an alternative writ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analyzing existing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hile examining the narrative and visual techniques employed in graphic novels. The findings reveal that graphic novels serve as a medium for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with the public and effectively convey complex emotions through the interaction of images and text. Furthermore, the expressive strategies utilized in comics demonstrate the potential to foster critical thinking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social discourse. Through this,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that graphic novels can serve as a novel approach within arts-based qualitative research.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그래픽노블의 대안적 재현 전략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4호 목차
- 비수도권대학 여학생의 진로 관련 어려움 극복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노숙인거주시설 이용인의 영성에 맞닿은 알코올 중독 회복 경험
-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영화 <아무르>를 통해 본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 - 죽음이 배제된 삶, 삶이 배제된 죽음
-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아버지 대처 내러티브 탐구
- 예술기반 질적연구로서 그래픽노블의 방법론적 가능성 탐구
- 농인의 가족사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교사들의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통합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 30대 청년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가 체험한 생활세계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트랜스젠더의 트랜지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트랜스여성 대상으로
- 착취자본주의 시대에 대항적-대안적 심리상담 접근: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