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0대 청년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가 체험한 생활세계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clusive Lone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30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상종열(Chongryel Sang) 양혜정(Hyejeong Yang)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4호, 187~21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30대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의 생활세계에 주목하면서 이들이 체험한 세계가 어떻게 의미화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 4명을 선정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van Manen(1990)이 제시한 해석학적 현상학 4단계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에서 5개의 본질적 주제와 14개의 드러난 주제가 구조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5개의 본질적 주제 중 ‘압박에서 견디기/버티기’, ‘살기 위해 도피하기’는 참여자의 의식이 바깥세상에서 집으로 그리고 다시 방안으로 지향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주제들이었다. 반면, ‘탈주를 위한 출구 찾기’, ‘복귀 역량 강화하기’, ‘미로에서 방황하기’는 방에서 집으로 그리고 다시 세상으로 그들의 의식이 작용하는 과정에 드러난 본질적 주제였다. 드러난 주제 중 의식의 방향 전환을 촉발한 주제는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이었다. 이러한 시간 의식은 실존체(實存體)로서 30대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의 불안과 염려가 반영된 것으로 앞의 두 개의 본질적 주제와 뒤의 세 개의 본질적 주제를 이어주는 연결고리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청년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차원의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living world of recluses loners in their 30s and tried to understand how they meant the world they experienced. To this end, four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four-step research method proposed by van Manen(1990). In the process of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five essential themes and 14 revealed themes were closely connected structurally. Among the five essential themes, ‘Trying to endure pressure’ and ‘Running to live’ were the theme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the participant’s consciousness toward the room from the outside world to home and again. On the other hand, ‘Finding an exit for escape’, ‘strengthening the capacity to return’, and ‘wandering in the maze’ were essential themes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ir consciousness working from room to home and back to the world. Among the topics revealed, the theme that triggered the change of direction of consciousness was ‘not much time left’. This consciousness of time reflected the anxiety and concern of a reclusive loner in a household in his 30s as an existence and acted as a link between the first two essential themes and the next three essential the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 presented a discussion on the policy and practical level for reclusive loners in single-youth household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회복’을 위한 지난(持難)한 도전과 좌절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4호 목차
- 비수도권대학 여학생의 진로 관련 어려움 극복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노숙인거주시설 이용인의 영성에 맞닿은 알코올 중독 회복 경험
-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영화 <아무르>를 통해 본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 - 죽음이 배제된 삶, 삶이 배제된 죽음
-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아버지 대처 내러티브 탐구
- 예술기반 질적연구로서 그래픽노블의 방법론적 가능성 탐구
- 농인의 가족사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교사들의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통합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 30대 청년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가 체험한 생활세계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트랜스젠더의 트랜지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트랜스여성 대상으로
- 착취자본주의 시대에 대항적-대안적 심리상담 접근: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