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숙인거주시설 이용인의 영성에 맞닿은 알코올 중독 회복 경험
이용수 12
- 영문명
- Experience of Alcohol Addiction Recovery in line with the Spirituality of Users in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Homeles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박재완(Jaewan Park) 김도우(Dowoo Kim) 강선경(Sunkyung Kang)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4호, 219~24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톨릭 노숙인거주시설 이용인의 문제음주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면서 영성에 맞닿은 알코올 중독 회복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숙인거주시설 이용인 2명과 인터뷰 대화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의 알코올 중독과 영적 회복 경험의 의미는 ‘선택하니 떠밀리다’, ‘어둔 밤, 점차 짙어지는 어둠’, ‘슬픔의 우물, 영적 바닥에서 다시 튀어 오르다’, ‘미사 시작, 영혼의 성을 향한 발걸음’, ‘내 술잔 가득 넘치도록 가득 채워주시니, 한 잔 술은 음식이 되고’로 구성되었다. 가톨릭 사회복지실천에의 함의는 첫째, 회복 경험은 ‘본질로서의 영성’과 ‘차원으로서의 영성’이 상호보완적으로 드러남, 둘째,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실천을 모델로 가난한 이웃을 섬기는 종사자의 지지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함, 셋째, 영적회복은 현재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를 스스로 견인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함으로 귀결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blem drinking experience of users of a Catholic homeless residential facility as it is and to construct a narrative inquiry of the alcohol addiction recovery experience in connection with the spirituality. For this purpose, interview conversations were conducted with two us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piritual recovery experience and its meaning are consisted of‘being pushed around when they choose’, ‘dark night, gradually deepening darkness’, ‘The well of grief, bouncing back from the spiritual bottom’, ‘starting mass, taking steps towards the castle of the soul’, ‘You fill my cup to the brim, so a cup of rice wine becomes food’. The implications of the Catholic social welfare practice are first, that the recovery experience reveals ‘spirituality as an essence’ and ‘spirituality as a dimension’ as complementary, second, support for workers who serve poor neighbors based on Jesus Christ’s practice of love as a model helps to turn the crisis into an opportunity. Third, spiritual recovery resulted in having the strength to overcome current physical, mental, and social problems on one’s own.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알코올에 자기 존재를 내어주고 회복해 나가는 경험 이야기
V. 경험의 의미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4호 목차
- 비수도권대학 여학생의 진로 관련 어려움 극복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노숙인거주시설 이용인의 영성에 맞닿은 알코올 중독 회복 경험
-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영화 <아무르>를 통해 본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 - 죽음이 배제된 삶, 삶이 배제된 죽음
-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아버지 대처 내러티브 탐구
- 예술기반 질적연구로서 그래픽노블의 방법론적 가능성 탐구
- 농인의 가족사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교사들의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통합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 30대 청년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가 체험한 생활세계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트랜스젠더의 트랜지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트랜스여성 대상으로
- 착취자본주의 시대에 대항적-대안적 심리상담 접근: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