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트랜스젠더의 트랜지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트랜스여성 대상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on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Transgender : For trans women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이명화(Myeunghwa Lee) 김명찬(Myeungcha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4호, 277~30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트랜스젠더를 대상으로 그들의 트랜지션 경험을 질적 분석방법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호주관성을 바탕으로 참여자들의 트랜지션 에 관한 주관적 경험의 본질구조를 밝히고자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을 수행했다. 트랜스여성 6명을 대상으로 트랜지션 경험에 대해 심층 면담을 진행했고 자료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총 289개의 의미단위에서 6개의 주제와 17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신체불화가 시작되는 청소년기의 내적갈등’, ‘살기위해 이중생활하기’, ‘커밍아웃의 대한 거부와 수용’, ‘나다움을 찾기 위한 노력’, ‘트랜지션을 통한 새로운 관계형성’, ‘엇갈린 미래전망: 좌절과 희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트랜스젠더의 트랜지션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이들만이 갖는 특별한 경험과 그 과정에 대한 자료를 상담전문가들에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ransgender people’s transition experiences a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erefore, in this study, Giorgi’s technical phenomenological method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transition experiences and subjective meanings in the proces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ransition experiences with six trans women and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6 topics and 17 sub-topic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289 semantic uni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internal conflict in adolescence when physical discord begins’, ‘living a double life to live’, ‘rejection and acceptance of coming out’, ‘effort to find myself’, ‘building a new relationship through transition’, ‘mixed future prospects: frustration and hop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counseling experts with special experiences and data on the process of transgender transition by exploring in-depth.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4호 목차
- 비수도권대학 여학생의 진로 관련 어려움 극복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노숙인거주시설 이용인의 영성에 맞닿은 알코올 중독 회복 경험
-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영화 <아무르>를 통해 본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 - 죽음이 배제된 삶, 삶이 배제된 죽음
-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아버지 대처 내러티브 탐구
- 예술기반 질적연구로서 그래픽노블의 방법론적 가능성 탐구
- 농인의 가족사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교사들의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통합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 30대 청년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가 체험한 생활세계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트랜스젠더의 트랜지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트랜스여성 대상으로
- 착취자본주의 시대에 대항적-대안적 심리상담 접근: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