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교사들의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9

영문명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 Meaning of Major Study Group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Graduate School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염태근(Taegeun Yum) 양소정(Sojung Yang) 황지윤(Jiyoon Hwang) 소경희(Kyunghee So)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10권 제4호, 101~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공부하는 중등교사들의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으며, 중등교사이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교육과정을 전공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공동 학업 공간으로서 ‘전공 스터디’ 경험에 대한 질적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자들은 전공 스터디를 통해 다양한 연구와 이론들을 토대로 교육현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감수성을 갖게 되었고, 이질적 타인들과 마주치며 개인의 세계를 확장하는 경험의 의미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전공 스터디 경험은 중등교사(연구자)들에게 교육학 공부의 다층적 의미(교육 현장을 낯설게 만들어 질문하게 하고, 자신을 둘러싼 네트워크의 관계적 효과를 고려하게 하며, ‘나’의 존재를 비결정성의 상태에 놓인 존재로서 성찰하게 하는 등)를 인지하게 하는 매개체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 연구자들은 교사 연구자의 “배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기회와 교사들의 대학원 공부 경험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확대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ajor study group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studying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To achieve this,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was utilized, collecting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on the ‘major study group’ experiences of researchers who are secondary school teachers majoring in curriculum studies in a graduate program.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rough the major study group, the researchers developed a new sensitivity to educational phenomena based on various research and theories and reflected on the meaning of experiences that expanded their personal world by encountering diverse others. Ultimately, these major study group experiences served as a medium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earchers) to recognize the multi-layered meanings of studying education, such as making educational practices unfamiliar, prompting questions, considering the relational effects of the networks surrounding them, and reflecting on the self as an indeterminate being. In conclusion, the researchers suggest the need to expand further research on graduate study experiences of teachers, emphasizing the opportunity for serious reflection on ‘education’ by teacher-researchers.

목차

I. 들어가며
II. 연구방법
III.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공부하는 중등교사들의 전공 스터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IV.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대한 고찰
V.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태근(Taegeun Yum),양소정(Sojung Yang),황지윤(Jiyoon Hwang),소경희(Kyunghee So). (2024).중등교사들의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10 (4), 101-129

MLA

염태근(Taegeun Yum),양소정(Sojung Yang),황지윤(Jiyoon Hwang),소경희(Kyunghee So). "중등교사들의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10.4(2024): 101-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