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아버지 대처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f Fathers Coping with Their Children’s Non-suicidal Self-injury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서한나(Hanna Seo) 김수진(Sooji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10권 제4호, 67~9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처한 경험이 있는 아버지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에게 형성된 경험의 의미를 시간적·공간적 흐름에 따라 연구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수집된 연구 자료들을 바탕으로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처한 경험을 지닌 연구참여자들에 의해 이야기된 삶의 경험과 의미는 <아버지가 되어감>과 <아버지의 대처>로서 나누어져 총 10개의 주제가 나타났다. <아버지가 되어감>에는 ‘부모는 나를 위해, 나는 부모를 위해’, ‘대물림된 부모로서의 정체성’, ‘고되었던 삶이었지만 당연히 해야 할 도리’, ‘지켜내고 싶었으나 지켜내지 못함’이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대처>는 ‘자해를 이해하고, 자녀를 이해하고’, ‘나를 내던지는 희생으로 지켜내기’, ‘희망과 기대로 버텨냄’ ‘끊임없이 요동치는 마음을 다잡기’, ‘나를 지킴으로서 자녀를 지켜내기’, ‘일상을 공유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아버지의 대처에 대한 직접적인 사례를 다룬 최초의 질적 연구로서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아버지, 혹은 부모 대상의 심층적인 질적 연구를 확장시키는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아버지의 대처를 통해 본능적 지킴과 같은 부성의 개념과 역할을 발견하였음에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that studies the meaning of experiences formed by fathers who have experience coping with their children’s non-suicidal self-injury through their life stor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nd space. Based on the collected research data, the life experiences and meanings tol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 coping with their children’s non-suicidal self-injury were divided into and , and a total of 15 themes emerged. included ‘Parents for me, I for my parents’, ‘I have inherited my identity as a parent’, ‘It was a hard life, but it was a duty that I had to do’, ‘I wanted to protect them, but I couldn’t’, ‘I lost my mother and myself’, and ‘I lost my opportunity as a father’. included ‘Understanding self-injury, understanding children’, ‘Protecting them by sacrificing myself’, ‘Enduring with hope and expectation’, ‘Staying in control of my constantly fluctuating mind’, ‘Protecting my children by protecting myself’, ‘Sharing daily life’, ‘Resolving the triggering incident of self-injury’, ‘Protecting them by regaining my role as a father’, and ‘Learning about fatherhood’. This study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that directly deals with cases of fathers who have experienced their children’s non-suicidal self-injury, and it can be used as data to expand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targeting fathers or parents who have experienced their children’s non-suicidal self-injury. In particula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discovery of the concept and role of fatherhood, such as instinctive protection, through the father’s respons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10권 제4호 목차
- 비수도권대학 여학생의 진로 관련 어려움 극복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노숙인거주시설 이용인의 영성에 맞닿은 알코올 중독 회복 경험
-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영화 <아무르>를 통해 본 후기노인의 삶과 죽음 - 죽음이 배제된 삶, 삶이 배제된 죽음
- 자녀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아버지 대처 내러티브 탐구
- 예술기반 질적연구로서 그래픽노블의 방법론적 가능성 탐구
- 농인의 가족사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중등교사들의 대학원 전공 스터디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통합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 30대 청년 1인 가구 은둔형 외톨이가 체험한 생활세계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트랜스젠더의 트랜지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트랜스여성 대상으로
- 착취자본주의 시대에 대항적-대안적 심리상담 접근: 사회정의 상담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