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ridging Learning Coaching for Thinking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저자명
박정길(Jung-Kil Park) 이경화(Kyung-Hwa Lee) 배희라(HeeRa Bae)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2호, 87~11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목표로 하여 연결학습코칭을 S대안교육기관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결학습코칭을 진행하는 동안에 겪은 코치와 학생 간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성공적인 코칭 프로그램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S대안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초등 1에서 중3까지 학생이었으며, 연구방법은 학생들과 코치들의 인지지도, 설문지, 심층 인터뷰를 활용한 정성적 사례연구로 설계되었다. 코칭은 2024년 1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총 10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연결학습코칭은 코치와 학생 모두에게 ‘어려웠지만 즐거운 경험’으로 인식되었다. 사고기술은‘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경험이었고, 자기주도적 학습은 타인 주도에서 자기 주도로의 전환 경험이 되었다. 개인코칭은 깊이 있는 탐색을, 그룹코칭은 다양한 관점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여 개인코칭과 그룹코칭은 상보적인 효과가 있었다. 비자발적이고 생각하는 것과 자기주도 학습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학생들에게 친절한 코치, 개인 맞춤형 인지지도, 학생에 대한 집중은 성공적인 코칭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코치와 학생의 코칭 참여과정을 탐색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실천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tion of Bridging Learning Coaching to enhance thinking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at an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ion.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design, cognitive map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oaches and students. Coach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0 sessions from November 2024 to February 2025.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onnected learning coaching was perceived as a ‘difficult but enjoyable experience’ by both coaches and students. Students showed growth in reflective thinking and transitioned from externally directed to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es. Individual and group coaching demonstrated reciprocal effects, with individual sessions fostering deep exploration and group sessions promoting diverse perspective sharing. Key elements contributing to successful outcomes included personalized cognitive support, coach attentiveness, and emotional engagement. The results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길(Jung-Kil Park),이경화(Kyung-Hwa Lee),배희라(HeeRa Bae). (2025).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5 (2), 87-110

MLA

박정길(Jung-Kil Park),이경화(Kyung-Hwa Lee),배희라(HeeRa Bae).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5.2(2025): 87-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