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lb 학습유형과 ITSs 연계를 통한 초등학생 맞춤형 학습 설계 원리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Personalized Learning Design Principles for Elementary Students through the Integration of Kolb's Learning Styles and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홍광표(Kwangpyo H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2호, 33~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olb의 학습유형 이론과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TSs)의 핵심 요소를 연계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맞춤형 학습 설계 원리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교육, 교수설계, 에듀테크 전문가 등 15인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델파이(Delphi) 기법을 통해 세 차례의 합의 과정을 거쳐 총 15개의 설계 원리를 최종 도출하였다. 각 설계 원리는 Kolb 유형별 학습 선호 특성과 ITSs의 구성요소(도메인 모델, 학습자 모델, 교수 전략, 피드백 시스템 등)를 정합적으로 연계하여 도출되었으며, 학습자의 인지적·정서적 특성을 반영한 ITSs 설계 기준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연구는 ITSs 기반 맞춤형 학습 설계의 이론적 정합성과 실천 가능성을 확보하고, AI 기반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Kolb 학습유형 이론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초등학생 맞춤형 학습 구현을 위한 실질적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personalized learning design principles for elementary students by integrating Kolb’s Learning Styles Theory with key components of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TSs). A Delphi method was employed to derive consensus among 15 experts in educational technology, instructional design, elementary education, and EdTech. Through three rounds of surveys, a total of 15 design principles were finalized, aligning Kolb’s four learning styles with the structural elements of ITSs, such as domain models, learner models,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feedback mechanisms. These principles provide a framework for incorporating learners’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into ITSs design. The study not only secures theoretical and practical validity of personalized learning design using ITSs but also offers a new direction for implementing Kolb’s theory in AI-based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velopment of Teacher’s Narrative Competency and Its Implication
- Kolb 학습유형과 ITSs 연계를 통한 초등학생 맞춤형 학습 설계 원리 개발
- 수학영재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통제와 가치의 이중 매개효과
-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work-life blending)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청년기 적응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데이터 크리에이터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