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영재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통제와 가치의 이중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Alleviating Academic Stress among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ontrol and Value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Jing Zhao 안도희(Doehee Ahn)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2호, 53~8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초등학교 6학년 수학 영재학생 대상으로 통제-가치 이론(Control-Value Theory)을 토대로 이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부모, 교사, 또래 지지) 및 학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통제 및 가치가 매개하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의 2차년도 초등학교 6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학 성취도가 가장 높은 269명의 학생들(상위 3.59%; 남학생 158명, 여학생 111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업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교사 및 또래 지지가 가치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 지지와 가치는 통제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모 지지와 통제는 학업 스트레스에는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 교사, 또래 지지와 학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가치와 통제가 유의한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는 또래 지지와 학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부모, 교사, 또래 지지)가 가치와 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학업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데에 기여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영재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방안을 탐구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ntrol and valu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peers) and academic stress among mathematically gifted sixth-grade students in Korea. Utilizing the second-year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data from 269 students (top 3.59%; 158 boys, 111 girls) with the highest mathematics achievement scores were analyz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irl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cademic stress compared to boys. Second,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peers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s' perceived value, while peer support and perceived value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control. Conversely, parental support and perceived control directly negatively influenced academic stres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of value and control between parental, teacher, and peer support and academic stress. Additionally, control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academic stres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ucial role of social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peers in enhancing students' perceived value and control,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ir academic stress.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and empirical evidence useful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mitigate academic stress among gifted students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velopment of Teacher’s Narrative Competency and Its Implication
- Kolb 학습유형과 ITSs 연계를 통한 초등학생 맞춤형 학습 설계 원리 개발
- 수학영재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통제와 가치의 이중 매개효과
-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work-life blending)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청년기 적응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데이터 크리에이터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