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work-life blending)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Life Blending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전주성(JuSung Jun)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5권 2호, 111~12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이 인식하는 ‘일과 삶의 블렌딩’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DeVellis(2003)가 제안한 측정도구 개발절차에 따라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정의하는 ‘일과 삶의 블렌딩’은 개인이 자신의 일과 삶을 분리하지 않고, 추구하는 커리어 목표와 삶의 가치에 맞춰 이를 정렬하여 상호보완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331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문항간 내적일치도,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 측정도구는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단일 차원의 척도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일과 삶의 균형’ 개념이 전제하는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일과 삶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college students' perceived work-life blending. This study followed the instrument development procedure proposed by DeVellis (2003) to develop a measure of university students' work-life blending. Work-life blending, as defined in this study, means that individuals do not separate their work and life, but align them in accordance with their career goals and life values, and integrate them complementarily.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1,331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ork-Life Blending of College Students’ instrument was validated as a single-dimensional scale consisting of eight it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goes beyond the dichotomous thinking that the existing concept of work-life balance presupposes and presents an integrated view of work and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velopment of Teacher’s Narrative Competency and Its Implication
- Kolb 학습유형과 ITSs 연계를 통한 초등학생 맞춤형 학습 설계 원리 개발
- 수학영재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통제와 가치의 이중 매개효과
- 초중등 학생의 사고기술과 자기주도적 학습 향상을 위한 연결학습코칭 적용 사례연구
- 대학생의 일과 삶의 블렌딩(work-life blending)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청년기 적응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데이터 크리에이터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