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헤드 스파 선택 속성이 브랜드 경험을 매개로 브랜드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Head Spa Selection Attributes on Br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with Mediating Effect of Brand Experience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문숙희(Soog-hee Moon) 양수미(Su-Mi Ya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4권 제2호, 228~248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 오염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두피·모발 건강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는 현시점에서, 고객들이 보다 전문화된 헤드 스파 테라피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 소재 헤드 스파 브랜드를 대상으로 헤드 스파 선택 속성이 브랜드 경험을 매개로 브랜드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검증하였다. 모형과 가설 검증을 위한 설문 조사를 2025년 5월 동안 수행하였고, 유효 설문지 380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량 분석, 타당도·신뢰도 검증, 상관 관계 분석, 회귀 분석, 매개 효과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선택 속성은 브랜드 경험(가설 1), 브랜드 만족도(가설 2), 재방문 의도(가설 3)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경험은 브랜드 만족도(가설 4), 재방문 의도(가설 5)에, 브랜드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가설 6)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브랜드 경험은 선택 속성과 브랜드 만족도(가설 7), 선택 속성과 재방문 의도(가설 8)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헤드 스파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브랜드 가치 상승을 위한 다각적, 확장적 전략과 차별화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편, 표본 조사 연구인 점, 헤드 스파와 관련된 심층적, 전문적 조사 도구를 추가적으로 활용하지 못한 점 등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다. 이를 후속 연구에서 보완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t a time when scalp and hair health problems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tres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ors that effect customers' choice of more specialized head spa therapies. This study analyzed and verified the effects of head spa selection attributes on br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with mediating effect of brand experience, targeting head spa brands nationwid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25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nd 380 valid responses ultimate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election attributes significantly influence brand experience (H1), brand satisfaction (H2), and revisit intention (H3). Additionally, brand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s brand satisfaction (H4) and revisit intention (H5), while brand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revisit intention (H6). Additionally, brand experience was verified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and brand satisfaction (H7), and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and revisit intention (H8).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multifaceted, expansive strategies and differentiated insights for achieving sustainable growth and enhancing brand value in the head spa industr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fact that it is a sample survey and that there is a lack of in-depth, specialized survey tools related to head spas. It is hoped that these limitations will be addressed in future stud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쇼핑몰의 서비스 품질 특성이 고객만족과 지속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용전공 성인학습자의 학습실재감이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SNS 플랫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이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 비색법을 이용한 젤네일 유효성분 방출 특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rvice Quality Theory to Catholic Parish Ministry: Focusing on Text Mining Analysis of Church Documents
- NCS 기반 디자인 교육시스템이 교육만족도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택배서비스 품질이 택배사 브랜드 만족을 통한 온라인쇼핑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복합운송주선업체의 종업원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도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Strategic Neutrality and Middle Power Diplomacy: Comparing South Korea and Japan’s Vietnam Engagement
- 알고리즘으로 생성되는 온라인 광고가 소비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리적 반발과 브랜드 태도를 중심으로
-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hinese Chamber Musicals:A Case Study of The Butterfly on the Bund
- 추천 서비스의 지각된 가치가 구매의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꽃말 스토리텔링의 의미적 용도가 정서적 반응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경남 지역 리조트 호텔 조직의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의 놀이지원 및 자율성 탐색
- 헤드 스파 선택 속성이 브랜드 경험을 매개로 브랜드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grielogy
- The Korean Beauty Management Journa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Korean Beauty Management Journal
-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 Harvard Business Review
- Foundations and Trends® in Marketing
-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 [Doctoral Dissertation of Gwangju Women’s University]
-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 Prentice-Hall
- Korean HCI Society Academic Conference
- Journal of Hotel & Resort
- Journal of Marketing
- JOURNAL OF CONSUMER STUDIES
-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Doctoral Dissertation of Daegu Catholic University]
-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 Korea trade review
-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 Journal of K-Beautyin Society
-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 [Doctoral Dissertation of Seokyung Universi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
-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 Journal of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nvergence Multimedia
- [Doctoral Dissertation of Seokyung University]
- [Doctoral Dissertation of Dankook University]
- [Doctoral Dissertation of Seokyung University]
- ADVERTISING RESEARCH
- [Doctoral Dissertation of Anyang University]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