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헤드 스파 선택 속성이 브랜드 경험을 매개로 브랜드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Head Spa Selection Attributes on Br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with Mediating Effect of Brand Experience
발행기관
글로벌융합연구학회
저자명
문숙희(Soog-hee Moon) 양수미(Su-Mi Yang)
간행물 정보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4권 제2호, 228~248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환경 오염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두피·모발 건강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는 현시점에서, 고객들이 보다 전문화된 헤드 스파 테라피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 소재 헤드 스파 브랜드를 대상으로 헤드 스파 선택 속성이 브랜드 경험을 매개로 브랜드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검증하였다. 모형과 가설 검증을 위한 설문 조사를 2025년 5월 동안 수행하였고, 유효 설문지 380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량 분석, 타당도·신뢰도 검증, 상관 관계 분석, 회귀 분석, 매개 효과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선택 속성은 브랜드 경험(가설 1), 브랜드 만족도(가설 2), 재방문 의도(가설 3)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경험은 브랜드 만족도(가설 4), 재방문 의도(가설 5)에, 브랜드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가설 6)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브랜드 경험은 선택 속성과 브랜드 만족도(가설 7), 선택 속성과 재방문 의도(가설 8)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헤드 스파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브랜드 가치 상승을 위한 다각적, 확장적 전략과 차별화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편, 표본 조사 연구인 점, 헤드 스파와 관련된 심층적, 전문적 조사 도구를 추가적으로 활용하지 못한 점 등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다. 이를 후속 연구에서 보완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t a time when scalp and hair health problems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tres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ors that effect customers' choice of more specialized head spa therapies. This study analyzed and verified the effects of head spa selection attributes on br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with mediating effect of brand experience, targeting head spa brands nationwid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25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nd 380 valid responses ultimate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election attributes significantly influence brand experience (H1), brand satisfaction (H2), and revisit intention (H3). Additionally, brand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s brand satisfaction (H4) and revisit intention (H5), while brand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revisit intention (H6). Additionally, brand experience was verified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and brand satisfaction (H7), and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and revisit intention (H8).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multifaceted, expansive strategies and differentiated insights for achieving sustainable growth and enhancing brand value in the head spa industr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fact that it is a sample survey and that there is a lack of in-depth, specialized survey tools related to head spas. It is hoped that these limitations will be addressed in future stud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숙희(Soog-hee Moon),양수미(Su-Mi Yang). (2025).헤드 스파 선택 속성이 브랜드 경험을 매개로 브랜드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4 (2), 228-248

MLA

문숙희(Soog-hee Moon),양수미(Su-Mi Yang). "헤드 스파 선택 속성이 브랜드 경험을 매개로 브랜드 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4.2(2025): 228-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