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목하기 분석: 강점 기반 프레이밍과 결점 기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ending: Focusing on Strength-Based Framing and Deficit-Based Framing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수진(SooJin Lee) 김리나(Leena Kim) 방정숙( JeongSuk Pang)
간행물 정보
『수학교육학연구』제35권 2호, 197~22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사가 학생의 수학적 사고나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오류뿐만 아니라 강점에도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노티싱 연구는 대개 학생의 수학적 결점에 주목하고 이를 교정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교사들이 학생들의 강점에 주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지만, 교사가 학생의 수학적 사고를 어떻게 프레이밍(framing)하느냐에 따라 노티싱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교사는 학생의 수학적 사고의 강점과 결점 모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강점 및 결점 기반 프레이밍에 따른 노티싱을 모두 경험하게 한 후, 이러한 경험이 이후 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문제해결 과정을 주목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교사들의 프레이밍 양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강점 및 결점 기반 프레이밍에 따른 노티싱을 경험한 후 비슷한 수준의 문제해결 결과지에 주목할 때 결점 기반 프레이밍은 유지하면서도 강점에도 함께 주목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의 답변에 대해서는 결점에 더 주목하려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의 답변에서는 칭찬할 만한 강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에서 강점 기반 프레이밍에 따른 노티싱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공감하였으나, 오답이 포함된 문제해결 결과지에서 칭찬할 만한 점에 주목하는 데는 어려움을 느꼈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강점 및 결점 기반 프레이밍에 따른 노티싱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ttending to students’ mathematical strengths is an important practice for teachers; however, it can be challenging given the prevailing emphasis on students’ deficits. While this background can make it difficult for teachers to attend students' strength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attend both strengths and deficits in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s noticing can be shaped by how teachers framing their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n respon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the process of noticing through both deficit-based and strength-based framing. We compared and contrasted how these two framings of noticing influenced the teachers’ subsequent attention to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with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The findings indicate that after teachers experienced both deficit-based and strength-based framings, they tended to maintain a deficit-based orientation yet simultaneously recognized certain strengths in students’ solutions of comparable complexity. In addition, teachers tended to focus more on shortcomings in the work of higher-achieving students, while some sought commendable aspects in the work of lower-achieving students. Although teacher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a strength-based framing from an affective perspective, they found it difficult to identify praiseworthy elements in problem-solving results that contained erro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noticing and for the integration of both deficit-based and strength-based framings in mathematic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진(SooJin Lee),김리나(Leena Kim),방정숙( JeongSuk Pang). (2025).초등학교 교사들의 주목하기 분석: 강점 기반 프레이밍과 결점 기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35 (2), 197-220

MLA

이수진(SooJin Lee),김리나(Leena Kim),방정숙( JeongSuk Pang).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목하기 분석: 강점 기반 프레이밍과 결점 기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35.2(2025): 197-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