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하는 몫으로의 분수 개념에 대한 학습 기회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Opportunities to Learn Fractions-as-Quotients in 6th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윤형(Yunhyeong Choi) 이진아(Jin Ah Lee) 이자미(Jami Lee) 문혜선(Hyeseon Moon) 이수진(Soo Jin Lee)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5권 2호, 349~3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발행된 초등학교 수학 6-1 교과서 11종을 분석하여, 몫으로의 분수 개념에 대한 학습 기회를 단위 조정과 분할 조작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일부 교과서에서는 학생이 스스로 분할 방식을 탐색해보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분할선이나 분할 보조 표시의 제시 방식에도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분배 추론 유도, 단위 분수 세기, 전체와 몫 사이의 관계 명시와 같은 요소는 교과서마다 제시된 방식은 달랐으나 시각적 표현과 활동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교과서가 몫으로의 분수 개념의 양적 구조 형성에 필요한 분배 분할 조작을 유도하는 학습 기회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기회는 실제 수업에서 실현되지 못한 채 잠재적 수준에 머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 기회가 수업 맥락에서 교사의 교수 전략과 긴밀히 연결되어야 함을 보여주며, 향후 교과서 개발 시에 탐색 중심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도록 시각적 표현과 활동 구성을 정교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11 sixth-grade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examine opportunities to learn for understanding fractions-as-quotients, from the perspective of units coordination and partitioning opera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ome textbooks provid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lore partitioning strategies independently, and the use of partition lines and partitive auxiliary marks varied across materials. Elements such as promoting distributive reasoning, counting unit fractions, and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and each share were included in most textbooks, though with differing presentations. These features indicate that the textbooks contain implicit opportunities to support distributive partitioning opera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quantitative structure of fractions-as-quotients. However, these opportunities may remain latent if not actively realized in classroom i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uch opportunities must be closely aligned with teachers’ instructional strategies. Future textbook development should focus on refining visual representations and activity design to better promote exploratory learning experiences and support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ractions-as-quoti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학연구 제35권 2호 목차
- 분포의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한 예비수학교사의 협력적 논의 분석
- AI 통합 환경에서 수학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 2수준 단위 구조의 내재화에 따른 학생의 분수 개념 발달 분석
- 비와 비율 개념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목하기 분석: 강점 기반 프레이밍과 결점 기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 탐구형 문제만들기 과제에 대한 중학생의 창의성 분석
- 분수 나눗셈에 대한 6학년 학생들의 표현적 사고 분석: 포함제와 단위비율 결정 맥락을 중심으로
- Responding to Students' Mathematical Ideas during Individual and Small-Group Instruction: What Makes It?
- 생성형 AI 기반 통계적 탐구 문제 설정 수업의 기회와 도전
-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하는 몫으로의 분수 개념에 대한 학습 기회 고찰
- 도형의 높이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 대학 정수론 강의에서 학생들의 선택적 노트 필기에 관한 사례 연구: 동료 학생의 증명 판서에 대한 기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