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와 비율 개념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n the Concepts of Ratio and Rate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혜윤(Hyeyoon Choi) 박진형(JinHyeong Park)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5권 2호, 171~19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비와 비율 개념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 양을 단위화하는 과정을 통해 비의 의미를 다루는지, 측정공간 내 및 측정공간 간 동치관계를 어떻게 다루는지를 다중묶음관점 및 변동부분관점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양을 단위화하여 다른 양을 나타내는 과정 및 배(倍)의 의미 강조, 변동부분관점의 도입, 두 관점을 이용한 측정공간 내 동치관계의 지도, 변동부분관점을 활용한 측정공간 간 동치관계의 지도, 외적비 맥락에서의 비율 개념 지도 방안의 재구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concepts of ratio and rate are address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South Korea, Singapore, and Japan.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how the meaning of ratio is t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unitizing a quantity, and how equivalent relations are addressed both within and between measure spaces, from the perspectives of multiple-batches and variable-pa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s improvements including: emphasizing the process of unitizing one quantity to represent another and highlighting the meaning of “times” or multiples; introducing the variable-parts perspective; teaching equivalent relationships within measure spaces using both perspectives; teaching equivalent relationships between measure spaces using the variable-parts perspective; and restructuring instructional approaches to the concept of rate in the context of external ratio.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논의 및 시사점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학연구 제35권 2호 목차
- 분포의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한 예비수학교사의 협력적 논의 분석
- AI 통합 환경에서 수학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 2수준 단위 구조의 내재화에 따른 학생의 분수 개념 발달 분석
- 비와 비율 개념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목하기 분석: 강점 기반 프레이밍과 결점 기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 탐구형 문제만들기 과제에 대한 중학생의 창의성 분석
- 분수 나눗셈에 대한 6학년 학생들의 표현적 사고 분석: 포함제와 단위비율 결정 맥락을 중심으로
- Responding to Students' Mathematical Ideas during Individual and Small-Group Instruction: What Makes It?
- 생성형 AI 기반 통계적 탐구 문제 설정 수업의 기회와 도전
-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하는 몫으로의 분수 개념에 대한 학습 기회 고찰
- 도형의 높이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 대학 정수론 강의에서 학생들의 선택적 노트 필기에 관한 사례 연구: 동료 학생의 증명 판서에 대한 기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