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포의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한 예비수학교사의 협력적 논의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An Analysi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llaborative Discussions on Key Elements of Distribution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연(Jiyeon Lee) 임해미(Haemee Rim)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5권 2호, 321~34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계교육의 빅 아이디어인 ‘분포’에 주목하여, 예비수학교사가 상자그림을 활용하여 집단의 분포를 비교하는 협력적 논의 과정에서 분포의 핵심 요소 간 의미를 어떻게 연결짓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통계교육을 위한 예비교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중심, 퍼짐, 모양을 분포의 핵심 요소로 설정하고, 예비수학교사의 이해 수준을 조사한 뒤 서로 다른 이해 수준을 가진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소집단을 구성하였다. 이후 각 모둠별로 수업 설계에 관한 협력적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드러난 분포의 핵심 요소 간의 연결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포의 요소 간 연결이 활발히 이루어진 모둠은 이해 수준이 심화된 반면, 요소 간 연결이 제한적이었던 모둠은 이해의 발달 또한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예비교사의 통계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distribution, which is emphasized as a big idea in statistics education, and aimed to draw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statistics by analyzing how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nected meanings among the key elements of distribution during a collaborative discussion process in which they designed a lesson comparing group distributions using box plots. First, based on prior research, center, spread, and shape were set as the key elements of distribution, and after investigat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pre-service teachers, small groups were formed with members of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Then, each group engaged in collaborative discussions on lesson design, and the patterns of connection among the key elements of distribution revealed in the proces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group in which the elements of distribution were actively connected showed a deepened level of understanding, while the group with limited connections among the elements also showed limited development in understand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statistics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학연구 제35권 2호 목차
- 분포의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한 예비수학교사의 협력적 논의 분석
- AI 통합 환경에서 수학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 2수준 단위 구조의 내재화에 따른 학생의 분수 개념 발달 분석
- 비와 비율 개념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목하기 분석: 강점 기반 프레이밍과 결점 기반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 탐구형 문제만들기 과제에 대한 중학생의 창의성 분석
- 분수 나눗셈에 대한 6학년 학생들의 표현적 사고 분석: 포함제와 단위비율 결정 맥락을 중심으로
- Responding to Students' Mathematical Ideas during Individual and Small-Group Instruction: What Makes It?
- 생성형 AI 기반 통계적 탐구 문제 설정 수업의 기회와 도전
- 초등학교 6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제공하는 몫으로의 분수 개념에 대한 학습 기회 고찰
- 도형의 높이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 대학 정수론 강의에서 학생들의 선택적 노트 필기에 관한 사례 연구: 동료 학생의 증명 판서에 대한 기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