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Value and Meaning of Doctoral Degrees: Focusing on Current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Vocational Counseling Service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영건(Younggun Kim) 안윤정(Yoonjung An)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3호, 153~18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업상담 서비스 관련 전공 박사학위 도전의 목적과 동기, 학위과정에서의 경험과 지속의 원동력 그리고 학위 취득 이후 자신의 삶과 일터에서 박사학위의 의미와 가치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고찰하기 위하여 해당 전공 박사 취득자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하여 CQR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5개의 영역, 15개의 범주, 34개의 하위범주로드러났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사과정 진학 동기는 ‘직업적 성장’, ‘배움 자체에 대한 열망’, ‘치유와 변화에 대한 희망’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박사과정 수행의 경험은 ‘성장과 회복의 시간’, ‘다중역할 균형의 어려움’, ‘한계를 넘어선 몰입의 시간’, ‘학생들의 다양한 기대치’로 드러났다. 셋째, 박사학위 취득의 원동력은 ‘자신에 대한 믿음과 의지’, ‘주변의 지지와 지원’으로, 넷째, 박사학위의 가치는 ‘자기 성장과 효능감 향상에 기여’, ‘전문성을 기반으로 직업적 기회의 확대’, ‘학위의 의미변화’, ‘직업상담 서비스 관련 전공 학위 가치의 차별성’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상담 서비스 관련 전공박사학위만의 가치는 실용성, 확장성, 사람을 중심에 둔 사명감과 소명의식 고취 그리고 독창성과 희소성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박사학위 성취를 위한 실천적 지혜는 ‘학위 취득을 위한 현실적 전략’, ‘학위의 가치 창출과 확장을 위한 노력’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양해지고 있는 직업상담 서비스 분야에서 전문성과 실무 역량을 갖춘 고급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박사과정의 내실화를 도모하고 향후 관련 전공 박사과정을 고려하는 성인 학습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이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urpose and motivation behind pursuing a doctoral degree in vocational counseling services, the experiences during the doctoral program, the driving forces that sustained participants through the process, and how they construct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doctoral degree in their lives and workplaces after graduation.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individuals who had earned a doctorate in this field. The analysis revealed 5 domains, 15 categories, and 34 sub-categories,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s for entering the doctoral program were identified as ‘professional growth’, ‘a passion for learning itself’, and ‘a hope for healing and transformation’. Second, the experiences during the doctoral process included ‘a time of growth and recovery’, ‘challenges of balancing multiple roles’, ‘a time of immersion beyond personal limits’, and ‘diverse expectations from students’.
Third, the driving forces behind completing the doctoral degree were ‘self-belief and determination’ and ‘support and encouragement from others’. Fourth, the perceived value of the doctoral degree was constructed through ‘contributions to self-growth and enhanced efficacy’, ‘expansion of career opportunities based on expertise’, ‘evolving meanings of the degree’, and ‘the unique value of the doctoral degree in vocational counseling services’.
In particular, the distinctive value of a doctoral degree in vocational counseling services was found to lie in its ‘practical applicability’, ‘interdisciplinary potential’, ‘sense of mission and vocational calling centered on human service’, and ‘originality and rarity’.
Finally, the practical wisdom for achieving the doctorate was captured in ‘realistic strategies for degree completion’ and ‘efforts to generate and expand the value of the degre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doctoral programs aimed at cultivating highly competent professionals with both expertise and practical capabilities in the increasingly diverse field of vocational counseling services. Suggestions are also provided for adult learners considering doctoral studies in this are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부 창업지원과 디지털역량이 농업인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PBL 학습경험이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사학위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직업상담 서비스 관련 전공 현직자를 중심으로
- 동료지지 및 권한위임 조직문화와 잡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자기개발욕구의 매개효과 연구
- 고객발굴 중심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21년 청년패널조사를 활용한 청년자영업자의 직업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 창업 혁신 신제품의 가격 도출에 관한 연구
- 환경공무직 근로자의 직업선택동기, 자아존중감, 직업정체성, 장기근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대상 학교 상황에서의 학습된 무기력 유형화 및 관련 변인 차이 분석
- 창업생태계 선진화를 위한 새 정부의 창업정책 우선순위 도출 : 정책 수요자 중심의 창업정책 제안
- IPA 분석을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창업생태계 개선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참고문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직업교육연구
- 인문사회
- 평생교육학연구
- 평생교육·HRD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콘크리트학회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한국사회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농촌지도와 개발
- 직업교육연구
- 상담학연구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and Innovation in Social Science
- Scientometrics
-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 Impacting Education: Journal on Transforming Professional Practice
- Higher Educ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Doctoral Studies
-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 Australian Journal of Adult Learning
- The Professional Counselor
- New Horizons in Adult Education & Human Resource Development
- Age and Age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Doctoral Studies
- The Association Press
- Studies in Higher Education
- About Campus
-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 Studies in Higher Education
- Jossey-Bass Higher and Adult Education Series
-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 Studies in Higher Education
-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 International Journal of Doctoral Studies
- International Journal of Doctoral Studies
- Asia-Pacific Journal of Cooperative Education
- Innovative Higher Education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