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일본 피난행동요지원자의 피난행동지원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pport for the Evacuation of Those in Need of Assistance in Japan and Korea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김경민(Kyoung-Min Kim)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7輯, 347~3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oth Korea and Japan are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supporting people in need of evacuation assistance. To this end, one need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nd those of people in need of assistance. Furthermore, there are challenges at the evacuation support sites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those requiring assistance. Also,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and environment for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ose requiring assistance. To address these issues, the present study makes several proposals. Firs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diversity of disas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requiring assistance. Examples include the responses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2011 Tōhoku Earthquake. In order to take an effective approach to the serious damage affecting those requiring support, laws and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Second,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nd organize the support sites for evacuation in local communities, such as welfare evacuation shelter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the evacuees can lead a daily life during disasters. Also, it is also required to expand the workforce to provide those in need of assistance with welfare services.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s during a disaster, we need to enhance the disaster sensitivity of various resources, including the evacuees requiring assistance, their families, groups, local communities, and the nation. Evacuation support is a series of activities that attempt to elevate disaster sensitivity through interactions among various resources within local communit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victims of a disaster, focusing the support on individuals who require assistance.
영문 초록
韓国と日本は、避難行動要支援者の避難行動支援課題に対応している。そのためには、自然·社会的災害と要支援者の特性を考慮する必要がある。そして、要支援者の生活と密接に関係する避難行動支援現場に課題がある。また、要援護者の避難行動支援体制と環境の構築である。提言としては、まず、災害の多様性と要支援者の特性を考慮する必要がある。例としては、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と東日本大震災の対応がある。そのため、要支援者の深刻な被害に実効性のある対応を行うため、法令やガイドラインを整備した。第二に、地域社会の避難行動支援現場の内実化である。災害時にも日常生活ができる福祉避難所や社会福祉施設を整備する必要がある。また、要支援者の福祉サービスを提供する人材の拡充も必要である。第三に、災害の中の人間の視点から、避難行動要支援者と家族、集団、地域社会、国家など様々な資源の災害感受性を高める必要がある。避難行動支援は、要支援者を中心に、災害の中の人間の視点から、地域社会内の様々な資源との相互作用を通じて、災害感受性を高めていく一連の活動である。
목차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한국 피난행동요지원자의 피난행동지원
3. 일본 피난행동요지원자의 피난행동지원
4. 과제와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과목 연계 범교과적 글쓰기(WAC)의 교육 효과 분석 - 『현대 일본의 이해』 수업 서술형 시험을 중심으로
- 일본 푸드뱅크의 현황과 가능성 - 사회적 연대와 가치의 실현
- 昭和年間に生まれた新語·流行語に関する考察
- 『大韓自強会月報』に出現する日本漢字語の研究 - 大垣丈夫と柳瑾の記事を資料として
- 온라인 국제 교육실습을 활용한 일본어교육 사례 연구
- 한일 빈자(貧者) 가족의 언어행동에 나타난 아비투스
- 일본어 학습자의 모어별 외래어 사용양상 분석 : I-JAS 코퍼스의 대화 태스크를 기반으로
- 학습자의 발상을 끌어내는 초급일본어 작문수업 실천보고
- 간토대지진 조선인 대학살을 묘사한 시 연구 - 「근일소감(近日所感)」 「모래 먼지(砂けぶり)」 「십오엔오십전(十五円五十銭)」을 중심으로
- 2022개정 교육과정 일본어교재 어휘 분석 연구 - 일본어능력시험 급수별 어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일의 기독교 용어에 관한 연구 - 「God」과 「(Holy) Spirit」의 번역어 「神」
- 소세키 문학 속 재해
- 原因·理由的な従属複文をめぐって - 韓·日対照研究を中心に
- 한국과 일본 피난행동요지원자의 피난행동지원에 관한 연구
- 신문 코퍼스 구축을 통한 현대 한일 외래어의 양적 추이와 특징
- 근대 한일 유의 한자어의 대응과 현대어로의 변화 - 병렬코퍼스를 자료로
- 광기의 아이들, 광기의 모성 - 후루이 요시키치 「아이들의 길」
- 『伊勢物語』第二十七段考 - 旧注から新注『伊勢物語古意』への注釈の特徴を中心に
- 근대 일본의 전쟁과 생식 통제 - 산아보국(産児報國)의 시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