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의 기독교 용어에 관한 연구 - 「God」과 「(Holy) Spirit」의 번역어 「神」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ligious Terms in Korea and Japan : Translated Words of ‘God’ and ‘Spirit’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이자호(Ja-Ho Lee)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7輯, 171~19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神’, which appears in Psalm 139:7 of the Korean Bible means ‘Spirit’ and differs in the use of the term from the Chinese and Japanese Bibles. In modern Korean, ‘神’ is considered to be a unique Christian term in that it generally means ‘God’.
Focusing on this fact,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word ‘神’ in bilingual dictionaries and Japanese dictionaries dating back to the 1800s when the Korean and Japanese Bibles were translated. I discussed the reason why ‘神’ was adopted from three viewpoints.
Research on ‘神’ has been discussed from many perspectives, such as philosophy, religious studies, anthropology, and sociology, in addition to linguistic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hat presents linguistic evidence f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hristian term which means only the ‘Holy Father’ instead of ‘God’meaning both the ‘Holy Spirit’ and the ‘Holy Father’, as claimed in the present work. This is based on a dictionary study, and it is considered impossible to clarify the meaning and usage of ‘神’ over thousands of years even if extensive research is conducted. However,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a basic study for identifying the unique character of ‘神’ used in the Bible (Psalms).
영문 초록
韓国語の聖書の詩編139編7節に見える「神」は、「聖靈(Spirit)」の意味で、中国語や日本語の聖書との用語の使用において違う。現代韓国語で「神」は一般的に「聖父(God)」を意味するという点で独特のキリスト教用語としての用法と考えられる。
本稿では、このようなことに注目し韓国語と日本語の聖書が翻訳された1800年代の対訳辞典と国語辞典とを対象に「神」の意味·用法について調べた上、韓国語聖書で「神」が採択された理由について3つの観点から論じた。
「神」に関する研究は、語学の他にも哲学、宗教、民俗、社会など数多くの観点から議論されてきた。しかし、本稿で主張しようとする<聖靈>と<聖父>の両方を意味する「神」から「聖父」だけを意味するキリスト教用語としての独特の性格について語学的根拠を提示する研究はなかったと思われる。本稿は辞書を中心に調査したもので幅広い資料を検討したわけではないという研究方法上の限界がある。数千年にわたる「神」に関する意味·用法を明確にするということは膨大な調査がなされても難しいかもしれないが、聖書(詩編)に使用された「神」の性格究明に関する一つの基礎的研究になることを期待したい。
목차
1. 연구 내용
2. 선행 연구의 검토
3. 한중일 성경의 번역 비교
4. 일본의 기독교 용어 「神」
5. 한국의 기독교 용어 「神」
6. 시편 139편 7절 「神」의 사용
7. 맺는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양교과목 연계 범교과적 글쓰기(WAC)의 교육 효과 분석 - 『현대 일본의 이해』 수업 서술형 시험을 중심으로
- 일본 푸드뱅크의 현황과 가능성 - 사회적 연대와 가치의 실현
- 昭和年間に生まれた新語·流行語に関する考察
- 『大韓自強会月報』に出現する日本漢字語の研究 - 大垣丈夫と柳瑾の記事を資料として
- 온라인 국제 교육실습을 활용한 일본어교육 사례 연구
- 한일 빈자(貧者) 가족의 언어행동에 나타난 아비투스
- 일본어 학습자의 모어별 외래어 사용양상 분석 : I-JAS 코퍼스의 대화 태스크를 기반으로
- 학습자의 발상을 끌어내는 초급일본어 작문수업 실천보고
- 간토대지진 조선인 대학살을 묘사한 시 연구 - 「근일소감(近日所感)」 「모래 먼지(砂けぶり)」 「십오엔오십전(十五円五十銭)」을 중심으로
- 2022개정 교육과정 일본어교재 어휘 분석 연구 - 일본어능력시험 급수별 어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일의 기독교 용어에 관한 연구 - 「God」과 「(Holy) Spirit」의 번역어 「神」
- 소세키 문학 속 재해
- 原因·理由的な従属複文をめぐって - 韓·日対照研究を中心に
- 한국과 일본 피난행동요지원자의 피난행동지원에 관한 연구
- 신문 코퍼스 구축을 통한 현대 한일 외래어의 양적 추이와 특징
- 근대 한일 유의 한자어의 대응과 현대어로의 변화 - 병렬코퍼스를 자료로
- 광기의 아이들, 광기의 모성 - 후루이 요시키치 「아이들의 길」
- 『伊勢物語』第二十七段考 - 旧注から新注『伊勢物語古意』への注釈の特徴を中心に
- 근대 일본의 전쟁과 생식 통제 - 산아보국(産児報國)의 시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