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嚴歌苓小説關於女性“聖娼二象性”敍事的突圍與重構
이용수 0
- 영문명
- The Breakthrough and Reconstruction of Female Narrative about ‘Holy-Prostitute Duality’ in Yan Geling’s Novels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楊璐(Lu Yang)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9집, 159~17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아브젝시옹(賤斥)’과 ‘젠더 수행성(性别操演)’을 방법론적 토대로 삼아, 여성의 신체가 역사적 폭력, 윤리적 규율, 그리고 초국가적 맥락에서 수행하는 역동적 실천을 분석함으로써, 옌거링이 어떻게 ‘성-녀 이중성’(聖娼 二象性)을 해체하고 여성 주체성의 다양한 가능성을 재구성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옌거링의 서사 전략은 신체를 저항의 기호로 삼는 데 집중한다. 그녀의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침묵, 패러디, 광기 등의 경계 넘기실천을 통해, 문화적 아브젝시옹 상태를 권력 질서를 해체하는 임계점으로전환시키며, 가부장적 담론이 신체에 부여한 기호적 규율을 전복하고 남성적 응시의 지배 논리를 붕괴시킨다. 초국가적 맥락은 이러한 저항의 차원을더욱 확장시킨다. 옌거링의 창작은 전통적 성별 서사의 도덕적 틀을 돌파했을 뿐 아니라, ‘성녀-창녀’라는 상징을 심판의 도구에서 문화 비판의 무기로재구성함으로써, 역사 서사 속에서 새로운 공간을 개척해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veals how Yan Geling deconstructs the ‘Holy-Prostitute Duality’ and reconstructs multiple possibilities for female subjectivity based on the cornerstone methodologies of abjection and gender performativity through the analysis of female bodies dynamically experiencing in historical violence, moral disciplines, and transnational context. The core narrative strategy employed in Yan’s novels is to link bodies to the sign of resistance, where female characters convert cultural abjection into the critical point of right order destruction, disrupt symbolic disciplines in patriarchal discourse, and unravel dominating logic from the male gaze through transgression experience practiced by silence, parody and madness. Under the dual-abjection of colonial gaze and domestic morality, female bodies suspend violence logic through silence strategy, and converse themselves into the blank signifier yet incorporated. Yan Geling’s novels not only break the moral frameworks built by traditional gender, but also reconstruct the ‘Holy-Prostitute Duality’ from instruments for judgements to the weapons for cultural critique, and open new spaces in historical narrative.
목차
Ⅰ. 緖論
Ⅱ. 污名反抗與神聖解構
Ⅲ. 性别操演與历史暴力中的身體抵抗
Ⅳ. 严歌苓改写“聖娼”符号的原因
Ⅴ. 結语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문과학 제89집 목차
- 『淸華簡·繫年』과의 비교를 통한 『��羌鐘』의 내용 고찰
- 현대중국어 강조구문 ‘要不要’의 구문화 및 구문변화 과정 고찰
- 状态词 “语音象似性”的跨语言表现 - 以中国境内民族语言为例
- 类词缀“前”的多维考察
- 中國玄幻小說研究現狀與發展趨勢 - 基於CiteSpace的可視化分析
- 中國少數民族雙語教育研究動向分析
- 东北方言在喜剧作品中的作用研究
- 켄 리우의 『종이동물원』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기억의 서사
- 嚴歌苓小説關於女性“聖娼二象性”敍事的突圍與重構
- 張家山漢簡 『盜跖』篇 注解와 考釋 - 현행본『장자·도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국 여성문학 속 여성해방 인식 변화 고찰 - 廬隱 『何處是歸程』, 張潔 『方舟』, 喬葉 『最慢的是活著』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