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중국어 강조구문 ‘要不要’의 구문화 및 구문변화 과정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structionalization and Constructional Change of the Emphatic Construction ‘要不要’ in Modern Chinese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김세미(SEMI KIM)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9집, 33~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중국어에서 강조구문으로 사용되는 ‘要不要’의 구문화 및 구문변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要不要’는 원래 정반의문문의 형식으로 사용되었으나, 점진적인 변화를 거치면서 감탄과 강조의 기능을 가지는 독립적인 구문으로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Traugot, Trousdale (2013)의 구문화(Constructionalization) 및 구문변화(Constructional Change) 이론을 바탕으로, 강조구문 ‘要不要’의 형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강조구문 ‘要不要’는 (1) 구문화 전 구문변화(Pre-constructional Change) →(2) 구문화(Constructionalization)→(3) 구문화 후 구문변화(Post-constructional Change)의 단계를 거치면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선택의문문의 성격을지니고 있었으나, 화자 지향적 ‘要’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점차 강조 구문으로 변화하였다. 이후 현대중국어에서 강조, 감탄, 유머, 불만 등의 다양한 화용적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 구문으로 정착하였다. 또한 강조구문 ‘要不要’는 기존의 강조 의문문( ‘怎麼這麼’, ‘爲什麼這麼’)과 결합하여 더 강한 감정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는 신흥 강조구문의 발달 과정에서도 중요한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onstructionalization and constructional change of the emphatic construction ‘要不要’ in Modern Chinese. Originally used as a polarity question (选择疑问句), ‘要不要’ gradually underwent linguistic changes and evolved into an independent construction with exclamatory and emphatic func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要不要’ emphatic construc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nstructionalization and Constructional Change proposed by Traugott, Trousdale (2013).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要不要’ emphatic construction has undergone a three-stage developmental process: (1) Pre-constructional Change→(2) Constructionalization→(3) Post-constructional Change.
Initially, it re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a polarity question; however, as the speaker-oriented function of ‘要’ became more prominent, the construction gradually shifted toward an emphatic and exclamatory usage. Subsequently, in Modern Chinese, it was fully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construction that conveys emphasis, exclamation, humor, and complaint in various pragmatic contexts. Additionally, the ‘要不要’ emphatic construction has combined with existing emphatic interrogatives such as ‘怎麼這麼’ (how so) and ‘爲什麼這麼’ (why so), enabling a stronger expression of emotions. This phenomenon represents a crucial characteristic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merging emphatic constructions in Modern Chines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정반의문문에서 강조구문으로
Ⅲ. 강조구문 ‘要不要’의 구문변화 과정
Ⅳ.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문과학 제89집 목차
- 『淸華簡·繫年』과의 비교를 통한 『��羌鐘』의 내용 고찰
- 현대중국어 강조구문 ‘要不要’의 구문화 및 구문변화 과정 고찰
- 状态词 “语音象似性”的跨语言表现 - 以中国境内民族语言为例
- 类词缀“前”的多维考察
- 中國玄幻小說研究現狀與發展趨勢 - 基於CiteSpace的可視化分析
- 中國少數民族雙語教育研究動向分析
- 东北方言在喜剧作品中的作用研究
- 켄 리우의 『종이동물원』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기억의 서사
- 嚴歌苓小説關於女性“聖娼二象性”敍事的突圍與重構
- 張家山漢簡 『盜跖』篇 注解와 考釋 - 현행본『장자·도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국 여성문학 속 여성해방 인식 변화 고찰 - 廬隱 『何處是歸程』, 張潔 『方舟』, 喬葉 『最慢的是活著』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