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자의 교과용도서 내·외적 체제 및 편찬에 대한 인식

이용수  19

영문명
Perceptions on Internal and External Systems and Publication of Textbooks of Authors Participated in Writing Special Education Textbook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저자명
이광림(Kwang-rim Lee) 이미숙(Mi-suk Lee)
간행물 정보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1호, 397~41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 및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편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특수교육 전문가 및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교육과정 반영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내적 체제 구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흥미 유발에 제한적인 교과용도서의 디자인을 지적하였고, 외적 체제의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적합성 검토 내용의 개선과 현장적합성 검토 운영의 체계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질 높은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해 통일된 교과용도서의 내적 체제 집필 기준의 마련, 교과별 특성이 나타나는 외적 체제의 구현, 그리고 체계적인 현장적합성 검토를 위해 연구학교와 교과연구회를 통한 현장적합성 검토와 검토 기준 마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in writing special education textbooks regarding the compilation of such textbooks.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five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y pointed out issues regarding the reflection of the curriculum in textbook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an internal structure that enhances learning effectiveness. Second, they highlighted the limitations of textbook design in stimulating interest and stressed the need for greater diversity in external structure. Lastly,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the review process for field applicability and the systematization of its opera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unified writing standards for the internal structure of textbooks to enhance their quality, the implementation of an external structur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nd a systematic field applicability review through research schools and subject research groups to develop review criteri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광림(Kwang-rim Lee),이미숙(Mi-suk Lee). (2025).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자의 교과용도서 내·외적 체제 및 편찬에 대한 인식.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7 (1), 397-413

MLA

이광림(Kwang-rim Lee),이미숙(Mi-suk Lee).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자의 교과용도서 내·외적 체제 및 편찬에 대한 인식."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7.1(2025): 397-4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