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의 한 내과 의사의 가치관 형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A Life History Study on the Formation of Value and Social Role of a Japanese Physicia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진숙(Jin-Sook Kim) 육권인(Kwon-In Youk) 박소영(So-Young Park) 김필성(Pil-Seong Kim) 가와구찌 시즈에(Kawaguchi Shizue)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1호, 85~11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4대째 의사집안에서 의업을 계승하여 인간적이면서 통합적인 의술을 펼치면서 지역에서 진정한 의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일본의 한 내과의사의 삶을 통하여, 그가 걸어왔던 의사의 길과 그가 추구하는 의료의 비전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인간의 생애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고, 4회에 걸쳐 마쯔다 원장과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의사로서의 인생의 전환점과 성숙과정을 연대기순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마쯔다 원장의 생애를 ‘유년시절’, ‘의대진학 및 전문의로의 성장’, ‘의과대학졸업 이후의 삶’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지역의료에 헌신하는 모습’과 ‘건강 창조에 대한 비전’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 일본 내과 의사 생애에서 나타나는 의사로서의 사명, 역할, 비전과 실천의 주요 특징들을 바탕으로 의학교육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of a Japanese physician who has inherited the medical profession for four generations, striving to practice humane and integrative medicine in the local community. Method: Life-history method was employ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in chronological order. Results: The Data were examined in three stages: ‘Childhood,’ ‘Admission to Medical School and Growth as a Specialist,’ and ‘Life After Medical School.’ The analysis focused on two key aspects: ‘Dedication to Community Healthcare’ and ‘Vision for Creating Health.’ Conclusion: Based on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is Japanese internist’s life,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improving medical education and fostering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healthca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마쯔다 원장의 생애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와 연구·개발형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재고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1호 목차
- 마을교육활동가들은 학교-지역 연계 교육의 전개 과정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학교자율시간 운영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활용 방안 : 부산 연제구의 교수학습자료를 중심으로
- 광주·전남지역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 태도 수준과 영향요인
-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자의 교과용도서 내·외적 체제 및 편찬에 대한 인식
-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도덕적 상상력 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 개인적 성공 경험을 가진 베이비 붐 세대로부터 도출한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항성 탐색
- 학교 차원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의어려움과 지원방안 탐색
- 일본의 한 내과 의사의 가치관 형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
- 대학과 지역사회 교육협력 방향에 대한 탐색 -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공학 수업에서 단권화 노트의 학습 효과 연구
- 장애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 한국형 유아 정신건강 선별검사의 단축형 구성
- IB MYP 공동체 프로젝트(CP)를 활용한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탐구
- 예비특수교사의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과 인식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사교수역량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배움의 연계 탐구: 교육내용과 역량을 중심으로
- 주제중심 수업과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내러티브 기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