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
이용수 98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빈경애(Kyung-Ae Been) 윤채영(Chae-Young Yun)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1호, 207~2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대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수집된 200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변인 간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자비는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자비가 자기불일치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 문제를 완화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심리적 건강과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개입에서 자기자비를 주요 요소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 해결을 위해 자기자비 향상에 초점을 맞춘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data from 200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mong research variables, Baron and Kenny's(1986) three-step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using Hayes'(2013) PROCESS Macro. Results: Self-compass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s suggests that self-compassion was a crucial factor in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mitigating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elf-compassion should be considered a key element in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psychological heal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와 연구·개발형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재고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1호 목차
- 마을교육활동가들은 학교-지역 연계 교육의 전개 과정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학교자율시간 운영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활용 방안 : 부산 연제구의 교수학습자료를 중심으로
- 광주·전남지역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 태도 수준과 영향요인
-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자의 교과용도서 내·외적 체제 및 편찬에 대한 인식
-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도덕적 상상력 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 개인적 성공 경험을 가진 베이비 붐 세대로부터 도출한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항성 탐색
- 학교 차원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의어려움과 지원방안 탐색
- 일본의 한 내과 의사의 가치관 형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
- 대학과 지역사회 교육협력 방향에 대한 탐색 -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공학 수업에서 단권화 노트의 학습 효과 연구
- 장애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 한국형 유아 정신건강 선별검사의 단축형 구성
- IB MYP 공동체 프로젝트(CP)를 활용한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탐구
- 예비특수교사의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과 인식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사교수역량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배움의 연계 탐구: 교육내용과 역량을 중심으로
- 주제중심 수업과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내러티브 기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