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인적 성공 경험을 가진 베이비 붐 세대로부터 도출한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항성 탐색
이용수 17
-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Derived from the Personal Success Experience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류재경(Jae-Kyeong Ryu) 강주현(Ju-Hyun Kang) 백성혜(Seoung-Hey Paik)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1호, 27~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성공 경험을 가진 베이비붐 세대의 생애 경험을 분석하여, 이들이 형성한 교육적 가치관과 융합교육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성공 경험을 가진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인터뷰 결과를 질적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 경험이 시사하는 융합교육 주요 방향성은 사고력에 기반한 창의성, 직무 수행을 위한 전문 지식, 공동체와 함께하는 인성 교육,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능동적 태도, 본질적인 행복 추구가 있다. 논의 및 결론: 베이비붐 세대의 생애 경험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세상에서도 적응할 수 있는 융합인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한 주요 특징을 중심으로 융합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 experiences of successful Baby Boomers to explore their educational values and the meaning of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Baby Boomers who have experienced success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interview result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successful Baby Boomers emphasize key directions for convergence education, including creativity based on thinking, specialized knowledge for job performance, character education rooted in community values, proactive attitudes toward changing environments, and the pursuit of intrinsic happiness. Conclusion: Based on Baby Boomers' life experiences, it is essential to nurture convergent talents capable of adapting to a changing world.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therefore focus on the main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is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와 연구·개발형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재고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7권 제1호 목차
- 마을교육활동가들은 학교-지역 연계 교육의 전개 과정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학교자율시간 운영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활용 방안 : 부산 연제구의 교수학습자료를 중심으로
- 광주·전남지역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 태도 수준과 영향요인
-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집필 경험자의 교과용도서 내·외적 체제 및 편찬에 대한 인식
-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도덕적 상상력 교육에 대한 질적연구
- 개인적 성공 경험을 가진 베이비 붐 세대로부터 도출한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항성 탐색
- 학교 차원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운영의어려움과 지원방안 탐색
- 일본의 한 내과 의사의 가치관 형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
- 대학과 지역사회 교육협력 방향에 대한 탐색 -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공학 수업에서 단권화 노트의 학습 효과 연구
- 장애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 한국형 유아 정신건강 선별검사의 단축형 구성
- IB MYP 공동체 프로젝트(CP)를 활용한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탐구
- 예비특수교사의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과 인식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사교수역량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배움의 연계 탐구: 교육내용과 역량을 중심으로
- 주제중심 수업과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내러티브 기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